산업 기업

LG화학, 中 코발트社와 합작법인…'배터리 수직계열화' 완성

2,394억 투입 전구체·양극재 생산공장 설립

완공땐 연간 전기차 40만대 분량 배터리 생산

코발트 안정적 수급…기술·가격 경쟁력 확보

LG화학(051910)이 세계 1위인 중국의 코발트 생산업체와 손잡고 배터리용 코발트의 안정적인 수급 체계를 완성했다. LG화학은 원재료부터 배터리 완제품까지 생산할 수 있는 수직 계열화를 갖추게 됨으로써 글로벌 배터리 왕국을 구축할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는 평가다.

LG화학은 11일 중국 화유코발트와 전구체·양극재 합작 생산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중국 저장성에 본사를 둔 화유코발트는 지난해 정련 코발트 2만톤을 생산한 세계 1위의 코발트 업체다. LG화학은 총 2,394억원을 오는 2020년까지 신설 법인에 투자할 계획이다. 전구체 생산 법인은 중국 저장성 취저우시에 설립되며 LG화학이 833억원을 투자해 49% 지분을 확보하게 된다. 또 양극재 법인은 장쑤성 우시시에 설립해 LG화학이 1,561억원을 출자해 51%의 지분을 확보, 운영에 참가할 예정이다. 이번 계약으로 화유코발트는 코발트 등 원재료에 대한 공급을 보장하기로 했으며 LG화학은 합작법인에서 생산되는 제품 또한 우선적으로 공급받는다.

12



전구체는 최종 양극재를 만들기 위한 전 단계 소재이며 양극재는 분리막·음극재·전해질과 함께 2차 전지의 4대 핵심소재 중 하나로 배터리가 방전할 때 리튬이온 저장 역할을 하는 배터리 핵심 요소다. 최근 2차 전지 수요가 증가하면서 양극재 원료로 쓰이는 망간과 코발트·니켈 가격이 급등하고 있어 원재료 확보에 우려가 커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LG화학은 이번 계약을 통해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를 덜게 됐다.


그동안 대규모 시설투자를 단행하고 중국 시장에서 상황이 악화되며 LG화학의 배터리 사업은 ‘고난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전지사업에서 연간 흑자를 낸 데 이어 올해는 중대형 배터리 부문에서도 손익 분기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현재 LG화학의 모든 시선은 2020년으로 맞춰져 있다. 2020년은 중국의 보조금 제도가 폐지되면서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인 중국에서 다른 기업과의 ‘진검 승부’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LG화학은 올해 배터리 시설투자에만 1조5,000억원을 쏟아붓는 등 2020년까지 연 생산 능력을 70GWh(기가와트시)까지 확대하기로 목표를 세웠다. 이번 신설 합작 법인 역시 2년 후인 2020년부터 본격적인 생산이 시작된다. 공장이 가동되면 연간 4만톤의 전구체와 양극재를 생산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고성능 전기차(1회 충전으로 320㎞ 이상 주행이 가능한 차량) 기준으로 약 40만대에 설치할 수 있는 규모다. 대개 고성능 전기차에는 60㎾h(킬로와트시)가량의 배터리가 장착되는 점을 고려하면 이곳에서 생산되는 전구체와 양극재만으로도 2020년 목표 생산량 117만대의 33% 이상을 충당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생산이 본격화될 경우 LG화학은 높은 기술 경쟁력과 함께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세부적인 납품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장기 대규모 공급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국제시세보다 상당히 낮은 가격에 공급받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LG화학과 함께 다른 국내 배터리 기업들도 원재료 공급원 확보에 동분서주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올 초 오스트레일리안 마인즈와 황산코발트 1만2,000톤과 황산니켈 6만톤을 2020년부터 공급받는 구매 계약을 체결했으며 삼성SDI는 포스코와 함께 칠레 정부로부터 싼값에 리튬을 공급받아 양극재를 생산하는 ‘리튬 프로젝트’ 사업자로 선정됐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