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인터뷰] 이재영 도지사 권한대행 "어촌뉴딜 사업에 관광 접목, '전남형 모델' 구축할 것"

12개 시·군 160곳 특성 반영

포구 경제·관광 활성화 총력




“소규모 항·포구 정비를 지원하는 정부의 어촌뉴딜 사업에 관광과 휴양, 레저 친수공간 등의 기능을 새롭게 접목한 ‘전남형 어촌뉴딜 300 모델 사업’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이재영(사진) 전남도지사 권한대행은 최근 전남도청 집무실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지금까지 소외됐던 소규모 어항과 포구의 기반시설에 대한 정부 지원을 최대한 이끌어 내면서 우리 지역만의 장점과 특징을 살려 사업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어촌뉴딜 300’ 사업은 해양수산부의 올해 역점 시책사업 중 하나로 그동안 국가의 지원을 받지 못했던 낙후된 소규모 어항·포구 300곳을 선정해 선착장, 방파제, 여객편의 시설 등을 정비, 어촌을 매력 있게 가꾸는 프로젝트다. 이를 통해 어업인의 삶의 터전이자 생활공간인 항·포구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개선하고 어촌관광을 활성화해 지역주민의 삶의 질과 소득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전남은 전국 바다 면적의 37%, 섬 개수는 전국의 65%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어촌과 항·포구를 보유한 대한민국 대표 수산도다. 하지만 국가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소규모 항·포구가 전국의 70%에 달하는 등 체계적인 개발과 지원이 시급한 실정이다.

관련기사



이런 가운데 전남도는 정부의 ‘어촌뉴딜 300’ 사업이 전남 지역에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고 판단하고 전국 최초로 자문단을 구성해 운영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또 연안을 끼고 있는 12개 시·군에서 신청한 160곳의 어촌과 섬을 대상으로 각각의 특성을 반영한 독창적인 모델 개발에도 지혜를 모으고 있다.

이 권한대행은 “어업인의 소중한 삶의 터전인 어촌과 섬마을의 골목길, 생활편의시설 등을 새롭게 디자인하고 개선해 활력을 불어넣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전남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가고 싶은 섬 가꾸기’ 사업과 연계해 섬과 어촌의 매력을 한층 높여나갈 계획이다.

이 권한대행은 “어촌 지역의 기반시설과 정주 여건이 개선되면 수산물 생산 확대와 침체한 어촌경제 회복으로 이어져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며 “떠났던 청년 인구가 되돌아오는 귀어·귀촌의 선순환 모델로 자리 잡아 인구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남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무안=김선덕기자 sdkim@sedaily.com

광주=김선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