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서울시, 2020년까지 공공시설 내진율 80%로 끌어올린다

서울시가 3년간 2,800억원을 투입해 공공시설물 내진율을 현 62%에서 2020년까지 80%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의 ‘서울시 지진안전종합대책’을 15일 발표했다.

서울 시내 공공건축물, 도시철도, 도로시설물, 시립병원 등 공공시설물은 총 3,431곳으로 현재 내진율은 62.5% 다. 서울시는 내진성능이 100% 확보된 수도시설(175곳), 공동구(7곳), 시립병원(17곳), 수문(3곳) 외에 공공건축물(2,035곳), 도시철도(604곳), 도로시설물(579곳), 하수처리시설(11곳)의 내진율을 높이는데 집중해 2020년까지 내진율을 80.2%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현재 61.4%의 내진율을 보이는 서울시 소관 공공건축물에 대해서는 2020년까지 709억을 투입, 134개소 내진보강공사를 실시해 내진율을 82.5%까지 끌어올린다. 자치구 소관 건물 가운데 내진 성능이 확인되지 않은 624곳에는 125억원을 지원해 내진성능평가를 내년까지 마친다.

관련기사



도시철도는 938억원을 들여 2022년까지 내진율 100%를 달성할 방침이다. 교량이나 지하도 등 도로시설물은 487억원을 투입해 내년까지 내진보강을 모두 완료한다. 특히 내진율이 31.3%에 불과한 학교 시설은 교육청과 지속해서 협력해 2020년까지 내진율을 48.4%까지 올릴 계획이다.

민간건축물은 내진설계 도입 이전(1988년 이전) 건축된 건물이 많아 내진율이 약 18.2%로 낮은 수준이지만 중앙부처와 협의해 내진보강 공사비 보조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 건축물대장에 필로티 구조 건축물 등록 의무화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고인석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경주, 포항 지진으로 이제 우리나라도 지진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걸 알게됐다”며 “시는 우선적으로 시설물의 내진율을 높여 안전성을 강화하고 앞으로 지진발생시 실생활에서 시민들이 대응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도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