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한국 소비자 "자산 40% 디지털 계좌로 이동시킬 의향 있다"

맥킨지 '개인금융서비스 2017' 조사

디지털뱅킹 침투율은 99%로 아시아 1위

기존 은행들 디지털 역량 키워야 하는 시점

한국 금융 소비자들은 자산의 약 40%를 은행 지점이 전혀 없는 디지털 계좌로 이동시킬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출범한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 케이뱅크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또 한국의 디지털뱅킹 침투율은 99%로 아시아 15개 국가 중 가장 높았다.

16일 글로벌 컨설팅 회사 맥킨지가 발표한 ‘디지털 소비자 시대의 아시아 뱅킹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소비자의 90%가 디지털 전용 은행에 계좌를 열 의향이 있으며, 자산의 약 40%를 디지털 계좌로 이동시킬 의향이 있다고 답변했다. 맥킨지는 3년마다 개인금융서비스를 조사해 발표하며 아시아 15개국 소비자 1만7,000명이 대상이다.


한국의 디지털뱅킹 침투율은 99%로 아시아 국가 중 가장 높았다. 선진아시아는 97%, 신흥아시아는 52%였다. 2주에 1번 이상 디지털뱅킹을 사용하거나 지난 6개월동안 1회 이상 이커머스로 구매한 ‘액티브 디지털 소비자’ 비중은 한국이 전체 인구의 90%로 성장했다. 선진아시아는 85%, 신흥아시아는 25%였다. 이는 한국 소비자들이 일상에서 디지털채널을 더 활용한다는 걸 의미한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한국의 액티브 디지털 소비자는 지난 12개월 간 디지털을 활용하지 않는 소비자에 비해 금융상품을 약 6.8배 더 구매하고, 1.5배 더 많은 상품을 보유한다고 분석했다.

맥킨지는 “아시아 전반적으로 소비자들이 디지털뱅킹으로 전환하고 있는 상황에서 신흥아시아에서는 디지털플레이어들에게 큰 기회지만 선진아시아에서는 기존 은행들이 디지털 역량을 키워야 하는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또 아시아 선진국에서는 신흥국에 비해 대면 채널인 은행 지점에 대한 만족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