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동병상련' 삼성SDI·디스플레이, 정보공개 보류에 안도의 한숨




국민권익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가 17일 잇따라 삼성전자의 작업환경측정보고서 공개에 제동을 걸면서 다른 기업들도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


현재 삼성디스플레이·삼성SDI 등은 고용노동부의 작업환경보고서 공개를 막기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국민권익위원회에 행정심판을 제기한 데 이어 최근 산업부에 국가핵심기술 판단도 요청했다. 이미 권익위로부터 보고서 공개에 대한 집행 정지 처분을 받아낸 삼성디스플레이는 국가핵심기술 판정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다음달 14일 천안의 배터리 공장 보고서 공개를 앞둔 삼성SDI도 행정소송·행정심판 등의 대응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아직 최종 결정은 되지 않았지만 행정소송·행정심판 카드를 꺼내 들 확률이 높다는 게 재계의 관측이다. 고용부가 보고서 공개를 결정한 삼성SDI 천안공장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중소형 배터리를 만든다. 이 분야는 자동차용 대형 배터리와 달리 중국 업체와 한국 업체 간 기술력 격차가 아직 큰 분야로 꼽힌다. 만약 공정별로 사용된 화학물질 종류와 양이 공개되면 삼성SDI가 입을 타격은 클 수밖에 없다. 삼성디스플레이·삼성SDI로서는 삼성전자와 동병상련의 입장인 셈. 그런 만큼 이날 결정이 반가울 수밖에 없다. 삼성디스플레이의 한 관계자는 “아직 산업부의 국가핵심기술 판정이 언제 이뤄질지 결정된 것은 없다”면서 “다만 (이날 결과가) 삼성전자가 원하는 쪽으로 나온 만큼 우리도 좋은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재계도 이번 결정을 반기고 있다. 이미 보고서 공개 관련 업종이 반도체·디스플레이 등으로 점점 확대 추세라 SK하이닉스·LG디스플레이 등으로 여파가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미 삼성의 보고서 공개 건은 당사자인 삼성뿐 아니라 산업계 전반의 문제로 커졌다”며 “고용부 주장대로라면 공장에서 사고가 한 번 나면 공장을 다 보여줄 수밖에 없어 걱정이 크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국가 핵심기술을 보유한 사업장의 안전 보건 자료 공개에는 엄격한 판단이 필요하다”며 “자료를 산재 입증이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안 그래도 중국 등 후발국의 추격이 거센 판국인데 기밀 핵심 정보가 유출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