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프랑스 등 유럽 10개국 신생아 절반 이상이 '혼외출산'

아이슬란드 69.6%, 프랑스 59.7%, 스웨덴 54.9%등

2000년 대비 혼외출산, 스웨덴 빼고 모두 늘어

유럽에서 결혼하지 않은 남녀 사이에서 태어나는 아이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아이슬란드,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내 10개국은 혼외출산 신생아 수가 전체 신생아의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유럽에서 결혼하지 않은 남녀 사이에서 태어나는 아이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아이슬란드,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내 10개국은 혼외출산 신생아 수가 전체 신생아의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유럽에서 결혼하지 않은 남녀 사이에서 태어나는 아이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아이슬란드,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내 10개국은 혼외출산 신생아 수가 전체 신생아의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연합(EU) 공식 통계기구인 유로스타트(Eurostat)는 지난 2016년 한 해 동안 EU 28개 회원국에선 모두 510만 명의 아이가 태어났으며 부모가 정식으로 결혼한 관계가 아닌 동거 상태 등에서 태어난 아이도 예전보다 증가했다고 18일(현지시간) 밝혔다. 이 통계에 따르면 EU 회원국 중 8개국에서, 유럽자유무역연합(EFTA) 4개국까지 합할 경우 모두 10개국에서 전체의 절반이 넘는 신생아가 혼외출산인 것으로 집계됐다.

EU에서 혼외출산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프랑스였다. 프랑스는 신생아의 59.7%가 혼외출산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 뒤를 이어 불가리아와 슬로베니아의 혼외출산 신생아 비율이 각각 58.6%로 두 번째를 기록했다. 뒤이어 에스토니아(56.1%)·스웨덴(54.9%)·덴마크(54.0%)·포르투갈(52.8%)·네덜란드(50.4%) 순이었다. EFTA 4개국 가운데서는 아이슬란드의 혼외출산 신생아 비율이 69.6%로 가장 높았고, 노르웨이도 56.2%로 절반을 넘었다.


반면에 EU에서 혼외출산 신생아 비율이 가장 낮은 나라는 그리스로 9.4%였다. 크로아티아(18.9%), 키프로스(19.1%), 폴란드(25.0%), 리투아니아(27.4%), 이탈리아(28.0%), 루마니아(31.3%), 몰타(31.8%) 등도 혼외출산 신생아 비율이 3분의 1을 밑돌았다. EFTA 국가인 스위스(24.2%), 리히텐슈타인(22.2%)도 혼외출산 신생아 수가 3분의 1 이하였다. 이들 국가 역시 스웨덴을 제외하면 지난 2000년 통계에 비해 혼외출산 신생아 비율이 늘어났다.

관련기사



이는 유럽 젊은이들이 점점 더 결혼을 꺼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지중해 연안 국가들의 혼외출산 신생아 비율이 크게 증가했다고 유로스타트는 분석했다. 키프로스는 지난 2000년 혼외출산 신생아 비율이 2.3%였으나 지난 2016년엔 19.1%로 8배 이상으로 늘었고, 몰타(10.6%→31.8%)·이탈리아(9.7%→28.0%)·스페인(17.7%→45.9%)·그리스(4.0%→9.4%) 등도 큰 폭으로 늘었다. 남유럽에 속한 포르투갈도 혼외출산 신생아 비율이 2배 이상(22.2%→52.8%) 늘었다.

반면 북유럽 국가인 스웨덴(55.3%→54.9%)·핀란드(39.2%→44.9%)·덴마크(44.6%→54.0%)와 발트 해 연안의 라트비아(40.4%→40.9%)·에스토니아(54.5%→56.1%)·리투아니아(22.6%→27.4%) 등은 대체로 큰 변화가 없었다.

한편 2014년 기준 OECD가 집계한 전 세계 혼외출산율은 39.9%였다. 한국은 1.9%로, 일본(2.3%)·터키(2.8%)에 이어 OECD 국가들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