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민 3명 중 1명 "단체급식·외식 불안…안전성 못 믿어"

지난해 식품안전체감도 조사…“식품위생 관리감독 강화해야”

국민 약 3명 중 1명은 단체급식과 밖에서 사 먹는 음식(외식)을 먹기에 불안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제DB국민 약 3명 중 1명은 단체급식과 밖에서 사 먹는 음식(외식)을 먹기에 불안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제DB



국민 약 3명 중 1명은 단체급식과 밖에서 사 먹는 음식(외식)을 먹기에 불안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최도자(바른미래당) 의원이 국무조정실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식품안전체감도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11∼12월 전국 성인 96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단체급식과 외식의 안전 정도에 대해 응답자의 35.3%와 33.9%가 각각 ‘불안하다’고 답했다. 수입식품과 학교 주변 판매식품이 ‘불안하다’고 답한 비율도 각각 40.1%와 39.5%였다. 제조·유통식품에 대해 ‘불안하다’는 응답자는 29.2%였다.


조사 대상자의 24.9%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식품안전관리 수준에 대해서도 불안감을 드러냈다. 안전하지 못하다고 느끼는 이유를 살펴보면 단체급식의 경우 ‘급식관리자나 식재료공급업체의 식품안전의식 부족’(29.1%), 외식은 ‘업주나 종사자의 위생의식 부족으로 비위생적인 조리’(35.4%)라는 대답이 많았다. 또 수입식품은 ‘정부의 검사 및 관리 미흡’(31.8%), 학교 주변 판매식품은 ‘실제 안전하지 못한 식품 판매’(26.5%), 제조·유통식품은 ‘정부의 식품제조업체에 대한 단속, 관리 미흡’(35.7%)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관련기사



불량식품이 근절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불량식품 제조업자에 대한 처벌이 약함’(47%)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불량식품 판매에 의한 부당한 경제적 이익 발생’(21.6%), ‘식품제조업자의 식품안전의식 부족’(16.6%), ‘불량식품을 사 먹어도 건강에 크게 영향이 없을 것으로 생각하는 사회분위기’(10.8%), ‘정부의 단속 소홀’(3.7%) 순이었다.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식품안전 현안으로는 ‘지자체의 식품위생분야 감시 감독 강화’(44.7%)가 꼽혔다.

최도자 의원은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더욱 세밀한 식품안전 조사와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주환 인턴기자 jujuk@sedaily.com

김주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