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포항 지진 지열 발전소 연관성, 산자부 "조사연구단 구성, 1년간 연구분석 진행"

정부는 작년 11월 발생한 포항지진이 인근 지열발전소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한 연구 결과에 대해 “정부 연구단이 조사를 마쳐야 연관성을 판단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공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보도설명자료에서 “정부는 포항지진과 지열발전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포항지진 조사연구단을 구성하고, 지난 3월부터 정밀조사에 착수해 1년간 연구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는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을 위한 유체 주입(물 주입)으로 생긴 ‘유발지진’일 가능성이 크다”는 국내 연구진의 연구 결과가 공개된 바 있다.

이 연구는 김광희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와 이진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 등이 참여한 국내 연구진이 한 것으로 정부가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지난달 시작한 조사와 별개로 알려졌다.


정부 차원의 조사는 대한지질학회 이강근 학회장이 총괄책임자로 지진, 수리지질, 구조지질 등을 연구하는 국내 전문가 10여명과 상시자문단 2명으로 연구단이 포함됐다.

관련기사



그동안 여러 차례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의 연관성을 주장해온 이진한 교수도 상시자문위원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정부 연구단은 지난달 8일 착수 보고회를 하고 지난 19일 포항시민을 대상으로 연구방향을 공개하기도 했다.

각종 자료를 분석하고 지열발전소 아래 단층 구조를 확인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으로 조사는 1년 이상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는 “주민 대상으로 진행과정에 대한 설명회를 여는 등 투명하고 공정하게 조사분석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가감 없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