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중복 지원에 브로커 활개...효과 없는 中企 정책자금

정부가 중소기업에 주는 정책 자금이 중복·편중 지원돼 시스템 자체를 대대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중복 지원을 받은 기업들의 실적 증가율이 정책 자금을 받은 일반 기업들과 차이가 거의 없어 오히려 유망 기업의 참여 기회만 박탈하고 있는 실정이다.

2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조직혁신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지난 2008년부터 10년 간의 연평균 매출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25억원 이상 지원받은 326개사의 매출 증가율은 8.8%, 6회 이상 지원받은 468개사는 9.0%에 그쳤다. 이는 정책자금 지원업체 전체 평균(8.7%)과 유사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연평균 영업이익 증가율도 25억원 이상 지원받은 326개사는 4.33%, 6회 이상 지원받은 468개사는 4.69%로 업체 전체 평균(4.33%)과 같거나 소폭 웃도는데 그쳤다.


여러 부처에서 연구·개발(R&D) 지원자금을 중복으로 받았으나 효과를 내지 못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지난 2010년 이후 각 부처의 R&D 자금이 투입된 4만 3,401개 과제 중 재정지원 R&D를 10회 이상 지원 받은 기업은 107개사에 달했지만 이들 기업 절반 정도가 매년 평균 매출·고용 증가율이 10%에도 미치지 못했다.

관련기사



이에 더해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 개입하는 불법 브로커까지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부의 관리 감독이 허술하다는 사실을 고스란히 보여줬다. 자금조달 등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 접근한 뒤 정책자금 등을 미끼로 고액의 성공보수를 요구하는 방식이다.

정부 정책 자금을 지원받은 A사 대표는 “건당 500만원 내외의 컨설팅 비용만 지급하면 정부 지원 사업에 무난히 합격할 수 있다”며 “업체 자체 역량으로 하려고 해도 정부에서 요구하는 서류가 워낙 많아 이를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업체 대표 사이에서는 모 브로커가 중기부와 연이 닿아있다는 얘기가 공공연히 나돌 정도로 정부 지원 정책에 구멍이 많다”고 꼬집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