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서울경제TV] DGB 차기 회장 후보 내일 면접…외부 인사에 관심 집중

DGB금융지주 회장 선임을 위한 면접를 하루 앞두고 외부출신 후보자들이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사회가 차기 회장 선임 절차를 개시하며 개방형 공모를 결정한 자체가 외부출신에 무게를 둔 선택으로 풀이되는 탓이다.


특히 박인규 전 DGB금융 회장이 채용비리와 비자금 조성 의혹 등으로 사퇴해 개선된 지배구조를 보여줘야 한다는 점도 외부 수혈 가능성을 높인다.

2일 DGB금융지주에 따르면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오는 3일 서류심사를 통과한 후보군에 대한 면접을 진행한 후 1~2명의 최종 후보를 확정한다.

앞서 임추위는 지난 18일 마감된 공모에서 13명의 지원자 중 면접에 참여할 6명의 후보군을 선정했다. 이 가운데 외부 출신은 4명, 내부 출신은 2명이다.

첫 외부출신 회장이 탄생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관심은 외부인사들에 집중된다.

DGB금융 차기 회장 면접을 앞둔 외부인사는 이경섭 전 농협은행장, 이휴원 전 신한금융투자 사장, 박병탁 시티은행 부행장, 김태오 전 하나HSBC생명 사장이다.

우선 이경섭 전 행장은 후보자 중 유일하게 대형은행을 이끌었고, 금융지주 부사장도 역임했다는 경력이 강점이다.

특히 NH농협증권과 우리투자증권의 통합추진위원장을 맡아 NH투자증권 출범에 기여한 점은 비은행 부문 확장을 위해 하이투자증권 인수를 추진 중인 DGB금융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구·경북 지역에서 대구은행의 적수인 농협은행 출신이라는 점이 껄끄럽다.

관련기사



이휴원 전 신한금투 사장은 은행과 증권의 ib를 동시에 이해하고 있는 점이 강점으로 평가된다.

지난 2009년 신한금투 사장을 맡아 업계 최초로 사명에 증권을 떼고 금융투자를 넣을 정도로 금융투자업에 대한 애정이 남다르다.

또 노조위원장 출신이라는 점에서 노사관계나 현 정부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 전 사장은 이명박 대통령과 같은 포항 출신에 같은 고등학교(동지상고)를 졸업했다는 이유에서 MB라인으로 분류되기도 하는 점이 부담이다.

그러나 이 전 사장은 이명박 대통령 당선 전인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신한은행 ib그룹장을 맡아 5년간 ib를 최장수 진두지휘한 ib통이다.

박병탁 전 씨티은행 부행장은 정치적 배경이나 잡음 없이 은행원으로서 갈 수 있는 최고의 자리까지 갔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 상대적으로 다른 후보자들에 비해 큰 조직을 이끈 경험이 부족하다는 점과 낮은 인지도가 아쉽다는 평이다.

김태오 전 하나HSBC생명 사장은 1978년 외환은행 입행 뒤 하나금융에서 임원으로서 지주, 은행, 카드, 생명보험 등 금융업 전반을 두루 경험한 한 것이 강점이다.

1954년생인 김 전 부사장은 경쟁자에 비해 나이가 많다는 것이 약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정훈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