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靑 "한미정상회담 5월 22일 백악관서 개최"...굳건한 동맹 재확인하고 북미정상회담 성공방안 논의키로

북미정상회담 개최시점에도 영향 줄지 주목

靑 "현재로선 5월내 개최에 변동 없는 것으로 안다"

한미정상이 오는 22일 미국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연다. 북미정상회담 성공으로 가는 길을 향해 ‘징검다리’를 놓는 사전조율 차원의 만남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이 같이 정상회담을 연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정확한 출발시간 등 세부 일정은 아직 미정이다. 방문형식이 공식방문이 될지 등도 확인되지 않았다.


김 대변인은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미간의 굳건한 동맹과 양국간의 깊은 우정을 재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미동맹의 상징인 주한미군 주둔 문제와 한국에 대한 미국의 방위공약에 변함이 없을 것임을 두 정상이 만나 거듭 밝힐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앞서 뉴욕타임스(NYT)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감축문제를 검토할 것을 자국 국방부에 지시했다고 보도해 논란을 샀다. 따라서 이번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주한미군문제 관련 국민불안이 해소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김 대변인은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반도 정세의 진전을 이루어 나가기 위한 긴밀한 공조를 계속하는 한편, 다가오는 북미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제반 방안에 대해서 중점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4일 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도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백악관에서 존 볼튼 국가안보보좌관과 2시간 가까이 협의를 하며 한반도 비핵화 목표 달성을 위한 양국간 긴밀한 공조방안 등에 대한 의견 조율을 마쳤다고 브리핑했다.

당초 5월 중순에서 초순으로 개최시점이 당겨질 것으로 예상됐던 한미정상회담이 되레 5월 하순인 22로 정해지면서 북미정상회담 개최 시기에도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모아 지고 있다. 당초 우리 정부 안팎에선 한미정상회담이 북미정상회담 2주전쯤 열릴 가능성이 있다는 시각이 우세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시각대로라면 북미정상회담 개최의 데드라인이 6월초순께로 원상복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다만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한미정상회담이 22일 열리면 북미정상회담이 6월초 열리는 것인지에 대해 “그것과는 관계 없다”며 “현재로선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을) 5월내에 한다고 했던 것에 아직까지는 변동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