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제2도약 실현으로 핵융합 연구 선도할 터”

유석재 국가핵융합연구소장, 실증로 연구단지 구축 추진

유석재 국가핵융합연구소장유석재 국가핵융합연구소장



유석재 국가핵융합연구소 소장은 8일 취임 100일 기념 기자간담회을 갖고 “연구소의 제2도약 실현을 위해 연구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핵융합에너지 실현을 위한 선도적인 연구를 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유 소장은 “핵융합연 이제 성장과 안정화 단계를 넘어 새로운 도약을 이루어야 할 시점”이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KSTAR 세계화를 통한 핵융합 노심 기술 개발 ▦ITER 사업을 통한 핵융합 공학기술 개발 ▦한국형 핵융합실증로 기반 연구 ▦국민체감형 플라즈마 원천기술 개발 등을 임기 동안 중점 전략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먼저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KSTAR 운영사업은 임기내 1억도 초고온 플라즈마 운전을 달성하고 본격적인 핵융합 연구 단계에 들어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플라즈마 온도를 올리기 위한 중성입자빔가열장치(NBI-2)의 설치가 최근 1차 완료됐고 올해 시운전 진행 후 내년부터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간다.

기존 해외 핵융합 장치들이 달성하지 못했던 1억도 이상 초고온 플라즈마의 장시간 운전에 도전해 세계 핵융합 연구에 또다시 새로운 기록을 세우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현재 약 55%의 공정률을 달성하고 있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건설 사업은 철저한 국내 조달품 개발 및 제작 일정 관리를 통해 2025년 최초 플라즈마 발생 계획을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기여할 계획이다.


유 소장은 “이제 핵융합으로 전기 생산을 실증하는 단계인 핵융합실증로(DEMO) 건설 준비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며 “KSTAR 연구 및 ITER 사업 추진과 더불어 실증로 단계로 가기 위한 선도적인 연구 전략을 추진하겠다”는 말했다.

관련기사



이를 위해 임기 동안 DEMO 설계 연구와 관련 요소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실증로 연구단지 구축과 같은 미래 핵융합연구 기반 확립에 힘쓸 계획이다.

플라즈마 기술 연구에 있어서도 국민 체감형 응용기술 연구를 확대하고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를 세계 2위 규모의 플라즈마 전문 연구 기관이자 세계적인 플라즈마 연구 거점으로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특히 쓰레기 및 폐기물 처리 등과 같이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문제의 궁극적 해결책이 될 수 있는 플라즈마 기술의 개발과 적용 확대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유 소장은 연구 환경에 있어서도 패러다임의 전환을 강조했다. 그는 “4차 산업혁명과 같은 대외 환경 변화에 발맞춰 소프트파워 중심의 핵융합 R&D 전략을 수립하고 핵융합 연구 난제 해결을 위해 AI와 같은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접목하여 핵융합 발전 기술 확보에 속도를 낼 것”이라며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는 공동 연구가 가능하도록 사이버 연구 환경 구축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유 소장은 서울대 원자핵공학과를 졸업했고 1996년 독일 칼스루에 공과대학(Karlsruhe Institute of Technology·KIT)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99년 한국기초과학 지원연구원 입사 후 KSTAR진단장치 개발사업 총괄책임자 등으로 재직했고 부설기관인 국가핵융합연구소 설립 후 응용기술개발부장, 플라즈마기술 연구센터장을 거쳤다. 2014년부터 국가핵융합연구소 부기관장인 선임단장을 역임한 후 지난 2월 국가핵융합연구소 5대 소장으로 선임됐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