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정보

【대북株】 'ICT 인프라' 최대 수혜株

- 남북경협 수혜는 제한적, 잘 된다면 유선장비 업체 수혜 기대

- 북미 정상회담, 싱가포르 개최에...남북 경협주 24% 폭등


【대북株】 'ICT 인프라' 최대 수혜株 (확인)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 ICT 인프라 구축 필요성을 강조한 데 이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측에 첨단기술산업(ICT) 특구 참여를 요청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오면서 최근 통신사/네트워크장비 업체들의 남북경협 수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당분간은 국내 통신사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장비업체들도 수혜를 기대하긴 어려워 보인다. 북한 ICT 사업을 주도할 주체, 네트워크 투자를 본격화할 주체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북한 스스로 네트워크 투자를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지 한국을 포함하여 외자 유치가 가능한지 여부를 현재 판단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그렇다.

국내 통신 3사의 경우 남북경협으로 인한 수혜를 예상하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물론 이동전화보급률 17%, 초고속인터넷 보급률 1% 등 낙후된 북한의 통신 인프라는 매력적이다. 하지만 북한에도 이미 통신사업자가 존재하며 북한 정부에서 국내 통신사 참여 기회를 열어준다고 해도 GNI 기준으로 볼 때 ARPU 수준이 너무 낮을 수 밖에 없으며 당연히 수익성이 떨어진다.


☞ 【특징주】 남북 경협주 15개... 올해 82% 급등... 급등 테마주 TOP 10 (확인)

관련기사



이는 후진국 진출을 강화한 해외 보다폰 사례에서도 잘 나타난다. 무선 통신장비 업체들의 경우에도 남북경협 수혜를 예상하긴 어렵다. 국내 통신 3사의 진출을 가정하지 않으면 매출 기반 확보가 쉽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중국 통신사도 차이나유니콤을 제외하면 북한 통신산업의 참여도가 높지 않아 국내 무선통신장비 업체들의 혜택을 기대하긴 쉽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스위치/AP 등 일부 유선통신장비 업체들은 일정 부분 수혜를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현재 북한 ICT 산업 육성을 위해서 북한 정부가 직접 나서서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국가 주도의 네트워크 인프라 확대 전략일 것이다. 그런데 외신 보도를 감안하면 이미 북한에도 광네트워크 기반의 백본망은 어느 정도 자리잡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광역도시에 광네트워크가 보급되어 있다는 보도를 감안 시 그렇다. 따라서 향후 가장 현실적인 ICT 활성화 방안은 북한 정부가 공공망/학내망을 중심으로 와이파이 공용망 구축에 나서는 것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볼 때 국내 통신장비 업체 중에선 스위치 장비 업체 정도가 남북 경협 수혜업체로 꼽힐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바이오株】 '美 FDA 승인' 저평가 바이오株 (확인)

오늘의 관심 종목

삼성중공업(010140), 한화케미칼(009830), 에스에프씨(112240), 현대엘리베이(017800), 비츠로시스(054220)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