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SE★단독인터뷰②]김경익, 이윤택의 타지마할..이렇게 썩었는지 몰랐다

“연출과 프로덕션이 또 하나의 썩은 힘으로 작용 하지 않길”




무역회사를 다니던 20대 평범한 청년은 연극을 만나고, 세상에 눈을 떴다. 그리고 바로 그 세계로 뛰어들었다. 하지만 12년 뒤 연극을 알게 해준 스승을 떠났다. 25년 뒤엔 그를 ‘마음 속에서 추방’ 시켰다고 했다.

영화 ‘박하사탕’(1999)에서 설경구에게서 고문을 받는 운동권 대학생이자 영화 ‘타짜’(2006)에서 정마담을 지키던 오른팔 빨치산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 배우 김경익 이야기이다. 1968년생 오달수와 동갑내기로 연희단거리패에서 오랜 시간 함께 해 왔으며, 곽도원(곽병규)과도 함께 극단 생활을 했다.

김경익 연출 겸 배우는 “연극 연출과 프로덕션이 또 하나의 썩은 힘으로 작용 하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김경익 연출 겸 배우는 “연극 연출과 프로덕션이 또 하나의 썩은 힘으로 작용 하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우리극연구소 1기 김경익은 1994년 1월, 배우로 데뷔했다. 연극 ‘햄릿’ ‘오이디푸스’ ‘어머니’ 등에 출연하며 약 12년간 이윤택 전 연희단거리패 예술감독과 연극 세계를 공유하며 ‘포스트 이윤택’으로 불렸다. 이대표가 자리를 비우면 연출 자리를 떠맡는 등 연출 쪽 경력을 꾸준히 쌓아온 스태프 출신이기도 하다. 이후 2006년 연희단거리패와 결별, 2012년엔 극단 진일보를 창단해 연극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2월 초 이윤택 전 연희단거리패 예술감독을 중심으로 하용부 밀양연극촌 촌장등이 극단원들을 성추행하고 유사강간한 혐의가 폭로되며 연극계 ‘미투(#MeToo)운동’ 열풍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배우 겸 연극 연출가 김경익을 만나, 연희단거리패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그가 꿈꾸는 연극의 세계에 대해 직접 들었다.

다음은 연극인 김경익과의 일문일답이다.



Q. 이윤택씨 미투 사건 이후..영원할 것 같은 것 같았던 연희단거리패는 결국 해체됐다.

A. 극단에 몸 담고 있을 때, 이 선생님과 했던 이야기 중에 기억나는 게 있다. ‘타지마할은 결국 한명이 디자인한다’고 말 하셨다. 그 말의 의미는 결국 이 집단은 한명에 의해 가고 유지되고 있었다는 뜻이다. 입단한지 1년 만에 느낀 심경은 지금 같은 느낌은 아니었다. 그러면서도 입단한지 1년 만에 개런티를 세는 시인(이윤택)의 손을 보면서 ‘내가 개인적으로 밥벌이를 하더라도, 당신한테 저런 부담 주지말자’고 다짐했던 사람이다.

Q. 연희단거리패의 흥망성쇠를 인도 이슬람 예술의 걸작 ‘타지마할’에 비유했다. 되묻자면, 이윤택씨는 ‘타지마할’ 즉 연희단거리패는 그걸 디자인한 본인의 것이라 생각했고, 단원들은 함께 만들어나간 우리 모두의 것이라고 생각했다는 의미인가?

A. 결국 당신은 타지마할의 디자이너였다. 그리고 주인인 것처럼 행세를 한 거죠. 누가 주인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타지마할의 가치에 대해, 코웍에 대해, 또 인간의 가치 모두를 그 관점으로 보는 거였죠. 당신의 입으론 ‘훌륭한 타지마할을 만들어야해야 해’ 라고 말했지만 연극은 그런 건가요?

연극은 벽돌 하나 하나를 쌓는 일이 아니지 않나. 스태프의 땀과 배우의 노력과 모든 유기체의 노력에 의해 만들어지는 게 연극이다. 각자의 기능을 n분의 1로 합친 게 연극이 아니다. 마음이 합쳐져서 다른 게 나오는게 연극인데 그 마음을 헤아리지 않고 기능적으로 붙여버렸다면, 그건...사고 방식 자체가 다른 게 아닌가.

Q. 결국 타지마할은 썩은 토대 위에서 만들어진 것인가?


A. 타지마할이 이렇게 썩었는지 몰랐다. 이 집단이 이 정도로 썩은 줄 몰랐다. 내 변명인데, ‘완전히 몰랐느냐’ 그러지는 않았다. 냄새는 맡았다. 누구에게 들었을 때, 내 선생에게 가서 당신이 이랬잖아. 저건 풍문이냐? 라고 충분히 물어볼 수 있었다. 글쎄. 애써 모른 척 했던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 역시 방관자였다는 걸 부인 할 수 없다.

관련기사



타지마할이 우리 거라고 생각한거죠. 아마도 많은 단원들이 주어진 역할을 잘 하자고 생각했던 듯 하다. 하지만 지나고 보니 그의 세계관이었다. 나중에 연희단거리패를 내던지는 걸 보고선 끝내 ‘이게 아니었구나’란 생각을 했다. ‘타지마할’이 아닌 자기 만족이 필요했던 거였다.

Q. 연극 공동체를 표방한 연희단거리패는 같이 숙소에서 먹고 자는 시스템으로 운영됐다. 이번 사건 이후 극단의 공동체성을 더 색안경을 끼고 보는 이들도 많았다.

A.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건 서로 같이 힘들었던 어린 시절이 있었다는 점이다. 내가 가마골에서 일할 때 극단 하루 식대가 7천원이었다. 20명 단원이 7천원으로 삼시세끼를 해결해야 했다. 물론 20년 전이니 그땐 물가가 지금과는 달랐다고 하지만 정말 작은 금액의 식비였던 건 맞다.

어떻게 그 돈으로 밥을 먹을 수 있었냐? 쌀은 사 놓은 게 있으니 반찬값으로 7천원을 할당한 거다. 그렇게 되면 제일 저렴한 오뎅, 콩나물, 두부를 반찬 재료로 사서, 두부국, 오뎅조림, 콩나물무침을 계속 교대로 해서 반찬을 만들어 먹었다. 집이 부산인 애들은 집반찬을 가져오기도 했다.

그렇게 먹으면서도 부끄럽지 않았다. 우린 좋아하는 연극을 하니까. 똑같은 반찬에 물릴 때면, 난 얼마 받을지도 모르는 개런티를 먼저 달라서 해서 애들 밥을 사먹이고 그랬다. 만약 그렇게 더 (성희롱 같은)이상한 일이 일어난 다는 걸 알았으면 그렇게 안 살았지. 그렇지 않은 모습이 진짜였고, 그렇지 않게 살았으니까 믿고 투닥거리면서 살았다.

다만 이 모든 게 선생님이 천재인 날 위한 봉사라고 생각했다면...정말 정신 차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혹은 제가 바보였던가.



Q. 이윤택씨와 마찬가지로 극작, 연출 모두를 겸하고 있다. 연출의 권력, 극단 대표의 권력이 잘못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는 걸 이미 체감하고 있었던 듯 하다.

A. 한국은 배우와 연출의 관계가 잘못 돼 있다. 연출은 뭔가 더 아는 사람. 배우는 연출이 시키는대로 해야 하는 대로 되버렸는데 그게 아니다. 독일 샤우뷔네 극장에서 배운 게 연기자는 드러내면서 보여주고, 연출자는 선택하고 방향을 잡아준다는 점이다. 하지만 우리나란 주종 관계가 자리잡고 있고, 프로덕션까지 무게가 실리면서 이상한 권력처럼 되고 있다. 지금 연극판에서 제일 크게 잘못 인식된 게 바로 이 것이다. 연출과 프로덕션이 또 하나의 썩은 힘이 되버린 게 문제지 ‘연극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Q. 이윤택 연출의 카리스마와는 다른 극단 내 질서를 원했다고 했다. 결국 그 지점이 연희단거리패의 해체로까지 이어졌다고 보나.

A. 극단을 가정으로 예로 들면, 엄마 아빠가 똑같이 가정 구성을 보살펴야 한다. 가정을 이루려면 (능력이)떨어진 애도 신경 써야한다. 하지만 위압적인 힘으로 눌러서 내 맘대로 하겠다는 건 말이 안 된다고 본다. 물론 마지막 책임을 지는 이는 연출이다.

모든 구성원이 똑같다는 건 불가능하다. 하지만 모두를 인격적으로 대해야 한다. 점점 일방적으로 강압적으로 또 위계적으로 유지되는 힘은 설 자리가 없어진다. 인간이 완전히 평등해지진 않겠지만, 그런 세상을 향해 가고 있다고 본다.

‘네 인격은 너한테 항의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대하는 태도가 네 인격이야’란 말이 있다. 미국 부통령이 한 이야기다. 청소부 아저씨, 수위 아저씨 등 모든 사람에게 ‘안녕하세요’ 인사를 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차이는 분명 존재한다. 그게 괜히 폼이 아니라 결국엔 자동차의 볼트가 돼서 기름칠을 해주는 것이다. 선생님은 거기서 한계가 드러나지 않았나 생각이 든다.

Q. 인간을 살피고, 인간을 이야기하는 연극인들의 자세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만든다.

A. 기독교, 불교, 유교, 이슬람 등 모든 종교가 사랑, 자비, 예, 인 등을 이야기한다. 결국 이 말은 사랑하고 살라.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 란 말이다. 이 말은 네가 당하기 싫은 일은 남에게 시키지말라. 또 네가 받고 싶은대로 남을 대하라는 의미이다. 관계를 쳐다보라는 말이다. 하지만 선생님은 그 한계가 드러났다. 더군다가 인간을 정밀하게 바라보고 대해야 하는 연극 작업을 하면서, 마지막 목표가 나만의 행복에 있다면, 그건 사상누각이겠죠. 언젠가 무너져도 무너졌을거라고 본다.

정다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