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우리銀 지주사 전환 후 정부 잔여지분 매각한다

당국, 공자위에 매각안 제시

헐값 매각 책임 피하기 차원

과점주주 "일정지분 우선매각을"

우리銀 내달 지주사 인가 신청

1615A11 우리은행 주주 구성 현황



금융당국이 우리은행의 정부 잔여지분 매각을 놓고 ‘선(先) 지주사 전환, 후(後) 정부 잔여지분 매각’으로 가닥을 잡았다.

15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 14일 공적자금관리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우리은행 지주사 전환 및 잔여지분 매각 안건을 상정, 이 같은 방안에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정권 교체와 채용비리 등으로 주춤했던 우리은행 지주사 전환 작업이 다시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지주사 전환이 임박한 상황에서 잔여지분 매각 시점을 정하는 건 내부정보를 이용한 불공정거래에 해당 될 소지가 있다는 논리로 선 지주사 전환, 후 정부 잔여지분 매각으로 입장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지주사 전환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인 뒤 정부 잔여지분을 팔겠다는 의도로 해석하고 있다. 특히 우리은행이 과점주주 체제로 바뀌어도 정부가 잔여지분을 보유한 현 구도에서 일자리 창출이나 생산적·포용적 금융 등과 같은 정책 추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판단도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콜옵션 2.97%를 제외하면 정부의 잔여지분은 18.4%에 달한다.


일각에서는 정부 잔여지분을 매각한 뒤 지주사 전환으로 우리은행 주가가 오르면 책임 논란이 불거질 수 있어 당국이 눈치를 보느라 선 지주사 전환이라는 타임테이블을 제시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주가는 생명력이 있어 구매자의 입장도 고려해야 한다”면서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이 민영화를 천명했는데 현 상태가 지속된다면 과점주주들도 엑시트(출구전략)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과점주주들은 선 지주사 전환 후 잔여지분 매각을 하더라도 정부 지분율을 한 자릿수로 낮춰 민영화에 대한 의지를 공식화할 필요가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특히 해외 투자자들이 ‘정부 리스크’로 우리은행 투자를 머뭇거리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정부 지분을 한 자릿수로 줄이고 예금보험공사에서 파견하는 비상임이사가 이사회에서 제외되도록 해 정부 입김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해외 투자자들이 느끼기에 민영화에 대한 확실한 유인 측면이 없기에 주식 매입에 소극적인 것”이라며 “투자자들을 만나도 정부 규제가 심하고 민영화를 진짜 할 것인지 모르겠다는 얘기를 한다”고 밝혔다. 실제 우리은행 외국인 주주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27.21%로 70%에 육박하는 타 금융지주보다 현저히 낮은 편이다.

우리은행은 다음달 중 지주사 전환을 위한 예비인가 신청을 할 전망이다. 과거 지주사 전환 경험이 있어 기간을 단축할 수 있지만 공정거래위원회 심의와 본인가, 주주총회, 상장 등 6개월의 절차를 감안해야 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연말까지 마무리 짓겠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지주사 전환에 대비해 자산운용과 부동산신탁 회사 등 인수합병(M&A)도 타진하고 있다. 1·4분기 깜짝 실적을 이끈 손태승 우리은행장은 주가 부양을 위해 이달 말 취임 후 처음으로 홍콩과 싱가포르에서 해외 기업설명회(IR)를 개최할 예정이다. 하반기에는 영국 런던 등 유럽 지역 IR도 계획하고 있다. 손 행장은 평소 임직원들에게 “올해가 지주사 전환의 적기”라며 “후배들에게 자랑스러운 1등 종합금융그룹을 물려주기 위해 지주사 전환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정원·김기혁기자 garden@sedaily.com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