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고혈압 환자 600만명 넘었다…"10명중 9명은 50대 이상"

고혈압, 심부전·협심증·심근경색 유발…체중조절·야채식·운동으로 예방

고혈압 진료인원이 2012년 540만명에서 2017년 604만명으로 지난 5년간 12% 증가했다./연합뉴스고혈압 진료인원이 2012년 540만명에서 2017년 604만명으로 지난 5년간 12% 증가했다./연합뉴스



고혈압 진료인원이 2012년 540만명에서 2017년 604만명으로 지난 5년간 12% 증가했다.

16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진료 빅데이터에 따르면 고혈압 질환으로 진료받은 사람은 2012년 540만명, 2013년 552만명, 2014년 556만명, 2015년 571만명, 2016년 590만명, 2017년 604만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5년간 증가율은 11.9%, 연평균 증가율은 2.3%이다.


남성은 2012년 255만명에서 2017년 298만명으로 연평균 3.2% 늘었고 여성은 같은 기간 285만명에서 307만명으로 연평균 1.5% 증가했다.

관련기사



환자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 이상(197만7,000명, 32.7%)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60대(168만명, 27.8%), 50대(154만8,000명, 25.6%) 순이었다. 연령대별 인구수를 보정한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70대 이상 남성(3만8,000명)이 가장 많았다. 50대까지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고 60대 이후에서는 여성이 더 많았다.

오성진 심장내과 교수는 70대 이상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나이가 들면 혈관도 노화돼 동맥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경직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오 교수는 “동맥경화의 진행과 함께 고혈압 발생빈도가 증가한다”고 덧붙였다. 또 “여성의 경우 폐경에 따른 호르몬 변화로 혈관의 보호 작용이 떨어지고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줄면서 고혈압 환자가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고혈압은 방치할 경우 심부전, 협심증 또는 심근경색증을 유발한다. 고혈압을 예방하려면 주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면서 염분 섭취를 줄이고 야채식 그리고 저지방 식사를 해야 한다. 더불어 나이와 체력에 맞는 운동으로 체중 관리를 해야 한다. /장유정인턴기자 wkd1326@sedaily.com

장유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