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영화

‘버닝’ 이창동 감독 “많은 코드 숨어있지만, 스릴러로 봐주길”

‘버닝’ 이창동 감독 “많은 코드 숨어있지만, 단순하게 스릴러로 봐주길”



칸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된 영화 ‘버닝’의 공식 기자회견이 17일(현지시간) 영화제 주요 행사장인 팔레 드 페스티발에서 열렸다. 각국에서 온 매체들은 작품의 주제와 영화 속 숨겨진 코드에 관해 다양한 질문을 쏟아냈다.

이창동 감독은 “이 영화에는 사회·경제적 코드는 물론 젊은 사람들의 이야기와 예술·문학·영화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등 많은 코드가 숨어있다”면서 “이를 설명하기보다 한편의 스릴러를 보는 것처럼 관객이 단순하게 받아들이길 바랐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을 영화화한 이유에 대해 “원작의 미스터리한 점을 요즘 세상의 젊은이들 이야기로 확장할 수 있을 것 같았다”고 설명했다.

이 작품은 하루키의 소설과 제목이 같은 윌리엄 포크너의 단편 소설 ‘헛간을 태우다’(Barn Burning)를 원작으로 삼았다.

이 감독은 “포크너 소설에서는 세상의 고통에 분노한 아버지가 남의 헛간을 태운다”면서 “아버지의 분노가 아들의 분노로 옮겨가는 이야기가 이 시대 젊은이들의 이야기와 가깝다고 봤다”고 말했다.

‘버닝’의 주인공 종수(유아인)는 서울서 배달일을 하는 작가 지망생이지만, 아버지가 공무원을 폭행해 구속되는 바람에 고향 집 파주로 내려와 지낸다. 종수의 아버지는 그 누구보다 자존심이 세고 분노조절 장애를 지닌 인물로 묘사된다.


영화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분노와 미스터리다. 이 감독은 “지금은 종교와 국적, 계급과 상관없이 모두가 분노하는 시대”라며 “특히 젊은 사람들은 표현할 수 없는 마음의 분노를 지니면서 현실에서 무력한 모습을 보이지만, 과거와 달리 분노의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없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어 “세상은 점점 좋아지는데, 나는 미래가 없는 것 같다는 게 요즘 젊은이들의 감정”이라며 “그들에게는 이 세계 자체가 미스터리이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떠올렸다.

영화는 여러 은유와 대비를 통해 양극화된 한국 사회를 드러낸다. 내레이터 모델 일을 하며 살아가는 해미(전종서)의 집은 남산타워 밑에 있다. 이 감독은 “서울의 상징적인 남산타워와 가난한 여성이 사는 작은 방을 대비시켰다”고 했다.

이 감독은 극 중 자주 등장하는 비닐하우스와 고급 수입차에 대해선 “비닐하우스는 한국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공간으로, 종수에게는 자기 자신과 같은 느낌을 주는 반면, 고급 수입차는 바라고 원하지만 자기 손에 닿을 수 없는, 즉 분노의 대상”이라고 풀이했다.

‘버닝’은 전날 공식 상영 행사 이후 “지금까지 공개된 경쟁 부문 가운데 최고”라는 평을 받고 있다. ‘버닝’의 수상 여부는 오는 19일 오후 폐막식 때 가려진다.

[사진=연합뉴스]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