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오는 12월 담배 경고그림 강화 앞두고 담배 소매상 ‘사재기’ 극성

지난 14일 보건복지부가 새롭게 바뀐 담뱃갑 경고 그림 시안 을 공개했다. 위 사진은 12개 시안 중 3종/사진=보건복지부 제공지난 14일 보건복지부가 새롭게 바뀐 담뱃갑 경고 그림 시안 을 공개했다. 위 사진은 12개 시안 중 3종/사진=보건복지부 제공



금연 정책 중 가장 강력한 단계로 꼽히는 흡연경고그림이 오는 12월부터 한층 강화된 사진으로 교체되는 가운데 이를 앞두고 담배 소매업소 등의 사재기가 극성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보건복지부와 기획재정부, 담배업계에 따르면 흡연경고그림 부착 의무화 정책을 도입하기 전인 2016년 담배판매량은 36억 6,000갑으로 담배반출량 37억 3,000갑보다 적었으나 흡연경고그림이 본격 시행된 2017년 담배판매량(궐련형 전자담배 포함)은 35억 2,000갑으로 담배반출량 34억 1,000갑보다 많았다.


담배반출은 담배 제조업체나 수입판매업자가 담배를 제조장 또는 보세구역에서 외부로 운반하는 행위로 실제 판매와는 다르지만 담배소비세 등 세수 산정의 기준이 된다.

이는 경고그림이 없는 담배를 사전에 미리 많이 사놓았다가 시중에 풀어놓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현상은 담배 가격 인상 전후 극심하게 보였던 사재기 현상과 비슷하다.

관련기사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담뱃값이 한 갑당 2,500원에서 4,500원 수준으로 대폭 인상되기 전인 2014년 담배판매량은 43억 6,000갑으로 담배반출량 45억갑보다 적었다.

하지만 담뱃값이 오른 2015년의 경우 가격 인상의 여파로 담배판매량 자체는 33억 3,000갑으로 전년보다 줄어들었지만 담배반출량 31억 7,000갑에 비교하면 훨씬 많았다.

즉 담배제조판매업체와 수입판매업체가 담배시장에 내놓은 담배보다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실제 판매된 담배가 많았다는 말이다.

이는 소매업소가 시세차익을 노리고 가격이 오르기 전 담배 사재기를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복지부는 흡연 폐해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경고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오는 12월 담배 경고그림을 기존보다 표현 수위를 한층 강화한 새로운 그림으로 교체하기로 했다. 또한 최근 흡연자들 사이에 인기를 끌고 있는 궐련형 전자담배에도 암세포 사진을 부착하는 등 경고그림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