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종철 숨진 '남영동 대공분실' 경찰 손 떠나 시민 품으로

제5차 사회관계장관회의서 환원방식 등 논의

옛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현 경찰청 인권센터)이 시민사회에 환원될 것으로 보인다./연합뉴스옛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현 경찰청 인권센터)이 시민사회에 환원될 것으로 보인다./연합뉴스



옛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현 경찰청 인권센터)이 시민사회에 환원될 것으로 보인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018년도 제5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관계부처 장관들과 이 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남영동 대공분실은 지난 1987년 고(故) 박종철 열사가 조사를 받다가 고문으로 숨진 곳이다. 이에 당시 경찰은 “책상을 ‘탁’ 치니 ‘억’하고 죽었다”고 허위 발표를 했다.


현재는 경찰청 인권센터가 들어서 있다. 그러나 박종철기념사업회 등은 국가폭력 가해자였던 경찰이 이곳을 인권센터로 두고 홍보용으로 쓰는 것보다 시민사회가 맡아 인권기념관을 설치하는 게 낫다고 주장해 왔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시민사회에) 환원하는 방향으로 하고, 어떤 식으로 환원할 것인지 부처 간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경찰청·행안부·국방부·기획재정부는 물론, 서울시와도 협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경찰청은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나, 법령을 근거로 설치된 공공단체에 건물을 무상으로 빌려주고 운영의 자율성을 주는 방안을 올해 초까지 검토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국유재산법에 따르면 지자체나 공공단체가 국유재산을 비영리 공익사업 목적으로 사용하려는 경우 국가는 대부료를 면제할 수 있다. 행안부는 시민사회와 이해관계자 의견 등을 수렴해 환원방식을 결정하고, 6·10 민주항쟁 기념식에서 대통령 기념사를 통해 구체적인 방안을 발표하기로 했다.

이와 별도로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는 ‘제2차 대학 창업교육 5개년 계획안’도 논의됐다. 정부는 누구나 창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대학생이 다른 학교에 개설된 창업 과목을 수강해도 학점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창업 교류제’를 활성화하고, 창업 장학금도 늘리는 등 학사제도를 개선할 방침이다.
/박신영인턴기자 wtigre@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