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해외진출 많은 시중銀 자문위 설치 필요"

금융연구원 세미나

국내 시중은행의 해외 진출이 확대되면서 이사회에 글로벌 자문위원회 설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사회를 구성하는 사외이사들이 해외 영업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니 글로벌 현지 영업을 자문할 수 있는 별도 전문조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25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한국금융연구원 주최로 열린 ‘금융 국제화의 현황과 과제’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한 서병호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은행들이 해외 진출 전략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이사회 산하에 글로벌 자문위원회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서 위원은 “은행 이사회가 해외 영업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기는 어려우니 이사회 내부에 ‘글로벌 자문위원회’를 설치하고 현지 상황을 잘 이해하는 사람들을 고용해 해외 점포의 여신심사를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예를 들어 신한은행이 베트남 진출을 핵심 해외 전략으로 삼고 있다면 베트남 현지 기업들을 잘 아는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를 두고 이들을 통해 현지 기업에 대한 여신심사 등의 조언을 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서 위원은 일본의 미쓰비시UFG파이낸셜그룹(MUFG)의 사례를 들었다. MUFG는 해외 수익의 비중이 전체 당기순익 중 3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데 글로벌 자문위원회를 별도로 설치하고 이 자문위는 순수 외부 전문가 6명으로 이뤄졌다고 소개했다.

관련기사



서 위원은 또 미국 국채금리 상승과 중동 리스크 등으로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이 위기를 맞고 있지만 오히려 국내 시중은행들이 해외에 진출할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서 위원은 “아르헨티나를 비롯한 신흥국들이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하는 등 신흥국 경제위기가 확산되고 있다”며 “아이러니하지만 국내 은행이 이 시기에 해외에 진출하는 게 오히려 조기 정착에 좋은 방법일 수 있다”고 말했다. 서 위원은 “우리나라도 1997년 금융위기 때 해외 은행들이 다수 들어왔다”며 “(이런 시기가 아니면) 국내 은행들이 다른 해외 은행들과 이기기 힘든 경쟁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흥국 위기로 외국 은행들이 조직이나 영업을 축소할 때 국내 은행이 해외에 진출할 기회가 열릴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손상호 금융연구원장은 이날 심포지엄 환영사에서 “촘촘히 발달한 국내 금융시장에서 앞으로의 경쟁은 ‘제로섬 게임’”이라면서 “금융산업의 발전을 지향하기 위해 국내 은행의 해외 진출 전략을 연구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말했다.


손구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