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도로 미세먼지 10% 타이어 마모로 발생"

기계硏 이석환 박사팀 조사

타이어 마모 측정 시뮬레이터(왼쪽)는 타이어와 도로의 표면 상태를 구현해 회전 과정에서 마찰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측정한다. 오른쪽은 시뮬레이터가 설치된 체임버(오른쪽). /사진제공=한국기계연구원.타이어 마모 측정 시뮬레이터(왼쪽)는 타이어와 도로의 표면 상태를 구현해 회전 과정에서 마찰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측정한다. 오른쪽은 시뮬레이터가 설치된 체임버(오른쪽). /사진제공=한국기계연구원.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5~10%가 타이어가 도로와 마찰을 빚으며 마모돼 나오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기계연구원(KIMM)은 29일 환경시스템연구본부 이석환 박사팀이 시속 50∼140㎞로 주행할 때 발생하는 타이어 마모 미세먼지를 측정한 결과, PM10 미세먼지(330∼650㎍/㎥)의 경우 16∼30㎍/㎥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실제 도로주행에서 타이어가 마모돼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5∼10%를 차지한다는 것을 뜻한다. 실험은 외부와 차단된 공간에 실제 도로와 유사한 주행조건을 만들고 자동차의 부하, 속도, 제동 등 다양한 조건에 따른 타이어 마모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시뮬레이터와 체임버를 구축해 진행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아직까지 세계적으로 타이어 마찰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에 관해 공인된 측정 방법이나 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타이어 마모 미세먼지는 자동차 비배출 미세먼지의 5∼30%를 차지하고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배출가스가 비교적 적은 차종도 동일한 문제가 있다. 이석환 박사는 “본격적인 관련 데이터를 확보해 비배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고광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