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연구원 "경기북부 미군 공여지, 남북교류 거점 삼아야"

경기硏 반환구역 개발 보고서

지원규모·범위 확대 필요 지적

경기 북부지역에 있는 반환예정인 미군 공여지를 4차 산업혁명과 남북교류의 핵심거점으로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11일 ‘미군 반환공여지 국가주도 개발에 따른 경기도 대응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경기연구원은 지난해 11월 6~20일 동두천·파주·의정부시 거주 성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반환공여구역 개발사업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12.3%, ‘주민지원사업을 알고 있다’는 응답이 23.8%에 그쳐 주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규모와 범위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사업 부진의 원인에 대해 응답자의 67.9%가 국가·지자체의 관심 및 지원 부족을 들었다. 반환공여구역 개발의 사업 방향은 ‘지역경제 활성화’ 70.3%이며 구체적인 반환공여지 사업으로는 ‘일자리 및 산업단지사업 73.3%을 나타냈다. 장윤배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북부에 위치한 반환공여구역이 4차 산업혁명, 남북교류, 수도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가 핵심거점이 될 수 있도록 국가차원의 개발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한편 현재 경기도내 미군 공여구역은 51곳이다. 이 가운데 반환대상이면서 활용 가능한 구역은 의정부 8곳, 파주와 동두천 6곳씩, 하남과 화성 1곳씩 등 모두 22곳이다. 16곳은 실제 반환이 이뤄졌다.

/수원=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