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이주열 “美 금리 인상, 국내 시장 영향 제한적”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4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정의 영향과 한은의 대응 방안을 검토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미 FOMC는 13일(현지시간) 정례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를 1.50~1.75%에서 1.75~2.0%로 0.25%포인트 올렸다. 한국 기준금리와의 차이는 0.25%포인트에서 0.5%포인트로 커졌다. FOMC는 또 올해 정책금리를 2회 추가로 올려 총 4차례 인상을 시사했다. 기존 3회보다 늘었다.

관련기사



이 총재는 “FOMC가 지난 3월엔 올해 3회 금리 인상을 예상했는데 이번 회의에서 금년 2번 추가 인상 가능성이 커졌다”며 “매파적(통화 긴축)으로 받아들여진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결과는 아니어서 미국 금융시장 반응은 차분했다”고 지적했다. 달러화가 FOMC 직후 강세를 보였다가 약세로 돌아섰고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 등 장기 금리가 많이 오르지 않은 점 등을 예로 들었다. 그는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것이라 본다“며 “자본유출을 결정하는 요소가 많기 때문에 한두번 금리를 올린다고 큰 영향이 있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일부 신흥국의 금융 시장 불안에 끼칠 영향에 대해선 경계심을 드러냈다. 그는 “미국 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지고 유럽도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축소할 예정이어서 일부 신흥국의 금융 불안이 어떻게 되는지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취약 신흥국의 금융 불안이 커져 한국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얘기다.

미국 금리 인상 가속화가 한은 통화정책에도 변화를 줄 수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금융통화위원들과 다 같이 고민해보겠다”고 말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