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책꽂이-분노와 용서] 분노의 감정을 들여다보다

■마사 C. 누스바움 지음, 뿌리와이파리 펴냄




분노를 주체하지 못하고 폭력적인 방식으로 분출하는 사람들을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사랑하는 연인을 상대로 폭력을 휘두르고 아예 상관없는 사람에게까지 ‘묻지마 범죄’를 저지른다. 온라인상에서는 앞뒤 따지지 않고 무조건 비판부터 하고 보는 악플과 ‘00충’과 같은 혐오의 표현들이 넘쳐난다.

신작 ‘분노와 용서’는 과연 분노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분노는 미래 지향적 행동인지 묻는다. 저자인 미국 법철학자이자 여성학자 마사 C. 누스바움 시카고대 철학부 교수는 인도의 성자 마하트마 간디의 말을 인용해 이 질문에 답한다. ‘눈에는 눈’을 고집하면 온 세상의 눈이 멀게 된다는 것이다.


2014년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열린 저자의 ‘존 로크’ 강좌 내용을 기반으로 한 이 책은 분노라는 감정을 깊이 있게 분석하고 용서의 필요성과 방법을 제시한다.

관련기사



저자는 분노를 세 가지 영역에서 살펴보는데 가족과 같은 친밀한 관계, 직장 동료나 상사와 맺는 ‘중간 영역’, 정치적 영역이 그것이다. 그는 모든 영역에서 분노가 개입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차라리 분노를 유발하는 원인과 거리를 두거나 냉정하게 법적 대응을 모색하는 편이 효과적이라고 강조한다.

분노의 선한 대안으로서 용서도 탐구한다. 그는 용서를 조건부 용서, 무조건적 용서, 무조건적 사랑으로 나누는데 피해 사실을 공인하고 다시는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면서 무조건적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런 측면에서 저자는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을 높게 평가한다. 흑인을 괴롭히는 백인이 고통받길 바라거나 백인에게 복수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대신 인종 차별이라는 체제를 바꾸는 것을 목표로 삼았기 때문이다.

물론 일반 사람들이 만델라 같은 마음가짐으로 분노 앞에 멈춰 서서 냉철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김영란 서강대학교 석좌교수의 추천사에서처럼 ‘말도 안돼, 저런 일은 다시는 벌어지지 말아야 해’라는 ‘이행-분노’로 전환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간다면 우리 사회가 한결 미래지향적으로 변할 수 있을 것이다. 2만8,000원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