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해리스 주한 美대사 지명자 “한미연합훈련중단, 北진정성 확인 차원에서 필요”

미 상원 청문회,“한미동맹, 평화·안정의 기둥…북핵위협 계속 우려”

“최대압박 덕분에 북미협상 가능…구체적 비핵화까지 제재완화 안돼”

연합뉴스연합뉴스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 지명자는 14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진정성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방침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해리스 지명자는 이날 열린 상원 외교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한반도의) 전반적인 풍경이 달라졌다”면서 “김정은 위원장이 실제 협상에 진지한지 가늠하는 차원에서 주요 훈련을 일시중단(pause)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해리스 지명자는 최종 결정은 국방부 소관이라는 점을 전제로, 주한미군의 일상적인 훈련은 지속할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도 설명했다. 단기간 훈련중단은 한미의 군사적 준비태세를 훼손하지는 않는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는 북미 정상회담에 대해 “모든 이슈가 한 번에 해결되지는 않지만 진지한 협상을 시작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며 긍정적 평가를 했다. 지난 40년 동안 여러 전투를 경험한 해리스 지명자는 “내 경력에서는 처음으로, 평화가 가능한 곳에 있게 됐다”라고도 언급했다. 다만 성급한 낙관론은 경계했다. 해리스 지명자는 “미 국무부의 ‘최대 압박’(maximum pressure) 정책과 유엔의 제재, 많은 국가의 혹독한 제재이행들이 김정은 위원장을 싱가포르 협상 테이블로 끌어냈다”면서 “(비핵화가) 구체적으로 증명될 때까지 이런 제재들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북 제재완화를 추진하는 중국의 움직임엔 우려를 드러냈다. 그러면서 “우리가 현실을 직시하기만 한다면, 우리는 낙관적일 수 있을 것”이라며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해서는 계속 우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한미 동맹의 중요성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우리의 한국에 대한 동맹 약속은 철통 같은 것이며, 변함없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하는 결정들은 동맹 차원의 결정이고, 이런 결정들은 동맹국인 한국과 함께 이뤄진 것”이라며 “(미국) 일방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해군 4성 장군 출신인 해리스 지명자는 지난달 18일 주한 미국대사에 공식 지명됐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해리스 지명자를 주호주 미국대사로 지명했으나 폼페이오 장관의 요청에 따라 자리를 바꿔 주한대사로 재지명했다.

이현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