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위기의 노인들…초졸 이하 실업·고용률 역대 최악 기록

고령층 대부분인 저학력자 실업·고용률 최저 수치

음식·숙박·도매업 부진... 임시·일용직 감소가 영향 미쳐

상당수가 고령 노인인 초등학교 졸업 이하 계층의 실업률과 고용률이 역대 최악을 기록했다. 사진은 초졸 이하 계층 실업·고용률 추이./출처=연합뉴스상당수가 고령 노인인 초등학교 졸업 이하 계층의 실업률과 고용률이 역대 최악을 기록했다. 사진은 초졸 이하 계층 실업·고용률 추이./출처=연합뉴스



상당수가 고령 노인인 초등학교 졸업 이하 계층의 실업률과 고용률이 역대 최악을 기록했다. 중졸 실업률 역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로 치솟았다.

통계청은 올해 1분기 초졸 이하 계층의 실업률은 6.7%로 1년 전(5.3%)보다 1.4%포인트 상승했다고 21일 밝혔다. 초졸 이하 실업률이 6%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9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통상적으로 실업률이 상승하는 원인 중 하나로 경제활동인구 증가가 꼽힌다. 하지만 올해 1분기 초졸 이하 경제활동참가율은 32.3%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번 실업률 악화가 온전히 고용 부진에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로 초졸 이하 계층의 1분기 고용률은 1년 전(31.8%)보다 무려 1.7%포인트나 떨어진 30.1%를 기록했다.


고용 부진은 저학력일수록 뚜렷했다. 중졸 계층의 1분기 실업률은 4.3%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상승한 값이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에 시달리던 2010년 1분기(4.9%) 이후 8년 만에 가장 높다. 고졸 실업률(4.4%)도 2016년 1분기(4.6%) 이후 2년 만에 최고치를 갱신했으며 고졸 고용률(61.5%)은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관련기사



반면 전체 1분기 실업률과 고용률은 각각 4.3%, 59.6%로 1년 전과 같은 수준이다. 통계청은 저학력자 고용 악화가 고령층 일자리의 사정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음식·숙박업과 도소매업의 부진 등 영향으로 임시·일용직이 감소한 것이 고령층 고용지표악화의 원인이라는 것이다.

고용계약 기간이 1개월∼1년인 임시직은 2016년 4분기 이후 매 분기 10만명 이상 큰 폭으로 줄어들고 있다. 계약 기간이 1개월 미만인 일용직은 지난해 4분기 5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는 5만7,000명 줄며 감소 폭을 키웠다.

통계청 관계자는 “초졸 이하 인구 구성을 보면 50대 이하는 많지 않다고 봐야 한다”며 “임시·일용직 고용 상황이 좋지 않은 점이 저학력자 고용 지표 부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