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국 작년 망명신청 1만건 OECD 19위…미국 33만건 '최다'

OECD 펴낸 '2018 국제이주 전망, "가장 망명신청 많았던 국가는 미국"

"유럽 국가들, 정부 차원의 실업대책 촉구해야"

경제개발협력기구(OECD)가 20일(현지시간) 펴낸 ‘2018 국제이주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신규 망명 신청자는 9,940명으로 OECD 35개 회원국 중 19위였다. 하지만 인구대비 비율로는 0.02%로 한국은 낮은 국가군에 속했다./출처=연합뉴스경제개발협력기구(OECD)가 20일(현지시간) 펴낸 ‘2018 국제이주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신규 망명 신청자는 9,940명으로 OECD 35개 회원국 중 19위였다. 하지만 인구대비 비율로는 0.02%로 한국은 낮은 국가군에 속했다./출처=연합뉴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가 20일(현지시간) 펴낸 ‘2018 국제이주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신규 망명 신청자는 9,940명으로 OECD 35개 회원국 중 19위였다. 하지만 인구대비 비율로는 0.02%로 한국은 낮은 국가군에 속했다.

작년 OECD 회원국 중 가장 망명신청이 많았던 국가는 미국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미국에서 이뤄진 망명신청 건수는 32만9,800건으로 전년에 비해 26% 증가했다.


2013년 이후 망명신청 건수에서 계속 1위를 차지했던 독일은 전년대비 73%나 감소한 19만8,260건에 그쳤다. 보고서는 지중해를 건너 유럽으로 건너온 난민행렬이 둔화한 데 따른 것이라 분석했다. 그 뒤를 이탈리아(12만6,550건)와 터키(12만3,920건), 프랑스(9만1,070건), 그리스(5만7,020건)가 이었다. 캐나다에 대한 망명신청은 5만470건으로 전년보다 두 배 이상 늘었고, 호주 역시 3만5,170건으로 29% 증가했다.

관련기사



인구대비 비율을 보았을 때 가장 수치가 높은 곳은 0.51%를 기록한 그리스였고 룩셈부르크(0.4%), 아이슬란드(0.32%), 오스트리아(0.25%), 독일(0.24%), 스웨덴(0.22%), 이탈리아(0.21%)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폴란드, 포르투갈(이상 0.01%), 한국, 일본(0.02%), 헝가리(0.03%) 는 가장 낮은 국가군으로 집계됐다.

한편 지난해 OECD 회원국 내 합법적인 영구 이주민의 수는 약 500만 명으로 2016년 530만 명과 비교해 약 5% 감소했다. 이는 2011년 이후 처음이다. 보고서는 “2016년 160만 건에서 2017년 약 120만 건으로 망명신청 건수가 줄어들면서 인도적 측면의 이주민이 뚜렷이 감소한 게 가장 큰 이유”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2015년 이후 방대한 이주민이 몰려온 유럽 국가에 정부 차원의 실업대책을 촉구했다.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젊은 난민층에 대한 구직 방안이 마련되지 않을 시 실업률 상승 등 사회 통합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