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2인자, 풍운아. 9선 의원' 김종필 전 국무총리의 파란만장 정치역정

사진=연합뉴스사진=연합뉴스



‘2인자, 풍운아’ 23일 별세한 김종필(JP) 전 국무총리는 김영삼(YS), 김대중(DJ) 전 대통령과 함께 ‘3김(金) 시대’를 이끌었으나 끝내 권련의 정점에는 오르지 못했던 정치인으로 기억되게 됐다.

평생을 2인자로 불렸던 그의 정치 데뷔는 1961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5.16 쿠데타에 가담하며 시작됐다.


정권을 잡은 직후 중앙정보부를 창설해 초대 부장을 역임한 그는 1963년에는 공화당 창당을 주도했다. 그러나 세력다툼으로 그해 ‘자의반 타의반’이라는 말을 남김 채 외유에 나섰다 돌아옸고, 1964년에는 ‘김종필-오하라 메모’ 사건, 1968년 3선개헌 추진세력과의 갈등으로 권력에서 밀려나기도 했다.

1971년부터 1975년까지 4년6개월간 국무총리를 역임한 그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후계자로 손꼽혔으나, 박 전 대통령의 서거 후 신군부 세력에 밀려 영어의 몸이 됐다.

1987년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하며 13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졌으나 4위에 그쳤고, 다음해 13대 총선에서 충청권을 기반으로 35개 의석을 확보하며 다시 부활했다. 그리고 격동의 세월을 겪으며 체득한 정치적 처세술로 2인자로서의 숙명을 받아들이며 정계에서 꾸준한 세력을 유지했다.

13대 대통령선거 당시 김종필 당시 후보의 선거포스터 (사진=연합뉴스)13대 대통령선거 당시 김종필 당시 후보의 선거포스터 (사진=연합뉴스)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3김(金)’으로 불리던 그는 1992년, 1997년 이들을 권력의 정점에 올리는데 적극 기여했다. 자신의 대권이 불가능해지자 이들과 내각제를 두고 딜을 했다는 이야기가 지배적이다.


3당 합당으로 당내 권력투쟁에 밀린 그는 1995년 6.27 지방선거를 앞두고 충청권을 연고로 한 자민련을 창당해 1997년 대권 도전을 선언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대선 막바지에 이르러 또다시 2인자로 물러나게 됐다. 여야 정권교체라는 명분을 내세워 당시 김대중 후보의 손을 들어주면서 ‘DJP 연합’을 성사시켰고, 헌정사상 최초의 수평적 정권교체를 이뤄냈다.

이후 국민의 정부 초대 국무총리를 역임하며 외환위기 사태 극복 등 김대중 전 대통령과 ‘콘크리트 공조’를 과시하며 또다시 전성기를 맞기도 했다.

DJP연합은 정권 말미 내각제 파동, 16대 총선 과정에서 쌓인 권력 1, 2인자 사이의 앙금이 쌓였고, 2001년 9월 임동원 당시 통일부 장관 해임안 가결은 결국 공조 파기로 이어졌다,

김 전 총리는 2004년 17대 총선을 통해 재기를 노렸으나 10선(選) 도전에 실패한 것은 물론 4명의 의원만 배출하는 참패로 결국 정계은퇴를 선언하고 정치 역정의 마침표를 찍었다.

김진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