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민관, 수소차 활성화에 2조 6,000억 투입…일자리 3,800개 창출 기대

산업통상자원부와 현대자동차 등 민간기업이 수소차 시장 활성화를 위해 2022년까지 2조 6,000억원을 투자한다. 실탄은 수소차 생산공장 확대와 수소충전소 보급에 투입된다. 이를 통해 일자리 3,800개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부는 25일 수소차 관련 업계와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혁신 2020 플랫폼’ 2차 회의를 열고 수소차 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우선 정부와 업계는 올해 1,900억원, 내년 4,200억원 등 2022년까지 총 2조6,000억원을 수소차 생산공장 증설, 수소버스 제작, 버스용 수소저장용기 개발 등에 투자한다. 이중 현대자 등 민간업계가 투자하는 돈은 2조 정도다. 정부는 2022년까지 산업부의 연구개발(R&D) 예산과 환경부의 수소차 보조금 등 6,000억원 가량을 투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정부는 2022년까지 수소차 1만 6,000대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 2019년 수소 버스 보조금 신설, 운송사업용 수소 버스 취득세 50% 감면, 2022년까지 수소차 보조금 유지하기로 했다. 아울러 2022년까지 수소에너지 가격도 경유·액화석유가스(LPG)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기 위해 수소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 및 유통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연료 가격은 ㎞당 휘발유 155원, 경유 92원, LPG 83원인데 수소차 연료 가격을 이들 보다 낮은 70원대로 낮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내년 수소유통센터를 설립하고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P2G(Power to Gas) 시스템 실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수소차 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관의 전략적 협력과 투자를 통해 2018년 400개, 2019년 480개, 2022년까지 총 3,8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백운규 장관은 “민간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인 성과를 보일 수 있도록 글로벌 수소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과감한 선제투자를 추진했다”며 “민간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인 성과를 보일 수 있도록 글로벌 수소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과감한 선제투자를 추진하길 요청한다”고 밝혔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