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졸음이 오는 이유, 드디어 밝혀졌다

日 연구팀 "신경세포 단백질군의 인산화 과정 때문"

아사히 신문은 일본 쓰쿠바대학 연구팀이 졸음이 오는 이유가 신경세포의 단백질군이 ‘인산화’라는 변화에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하다./출처=이미지투데이아사히 신문은 일본 쓰쿠바대학 연구팀이 졸음이 오는 이유가 신경세포의 단백질군이 ‘인산화’라는 변화에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하다./출처=이미지투데이



아사히 신문은 일본 쓰쿠바대학 연구팀이 졸음이 오는 이유를 밝혀냈다고 27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신경세포의 80종에 이르는 단백질군의 ‘인산화’라는 변화 때문에 졸음이 오는 거라고 영국 과학지 네이처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단백질군은 깨어있는 동안에는 ‘인산화’라고 불리는 현상이 진행되다가 잠들면 원래상태로 돌아가는데 이 현상이 신경세포의 피폐와 회복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쓰쿠바대학 수면의과학연구기구장인 야나기사와 마사시 교수를 비롯한 연구팀은 유전적으로 수면시간이 긴 쥐를 만들었다. 이 쥐와 불면상태로 만든 보통의 쥐를 비교하면서 졸음에 관계하는 뇌내물질 변화를 조사했다.

관련기사



조사결과 80종의 단백질에서 인산기가 결합하는 ‘인산화’가 일어나는 사실을 발견했다. 80종의 단백질 중 69종은 시냅시스(뇌 신경세포 간 연결부위)라고 불리는 신경세포의 접합부에 있어 깨어있을 동안에는 옆에 있는 신경세포와 화학물질을 주고 받으면서 정보전달에 관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나기사와 교수는 “정보전달에 따라 단백질군에서 인산화가 이뤄지고 인산기로 가득찬 단백질군은 정보를 전달하기 어렵게 되는데 이것이 졸음의 정체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시냅시스의 피폐가 졸음을 재촉한다는 그동안의 가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단백질군을 처음으로 특정했다. 연구팀은 인산기가 결합하는 이유를 규명하는 연구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