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회복 기미없는 저출산, 4월 출생아 역대 최저

2만7,700명으로 12개월째 줄어…"총인구 4년뒤 자연감소 할 것"

2815A08 4월 출생아 추이



지난 4월 태어난 아기 수가 2만명대로 떨어져 역대 최저 기록을 또 한 번 갈아치웠다. 1~4월 기준으로도 12만명에 채 못 미쳐 역시 사상 최저치였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4월 출생아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2,700명) 감소한 2만7,700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4월 기준으로 관련 통계가 공개된 1981년 이후 최저치다. 월간 출생아 수는 지난해 5월부터 12개월 역대 최저치를 기록중이다. 올해 1~4월 출생아 수도 11만7,300명으로 지난해보다 9.1% 줄었다.

관련기사



반면 4월 사망자 수는 2만4,000명으로 전년보다다 3.9%(900명) 늘었다. 1~4월 기준(10만5,800명) 증가율은 10%다. 출생아는 줄고 사망자는 늘면서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증가분도 1~4월 1만1,500명에 그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3만2,900명)의 3분의1 수준이다.

우리나라 총인구도 당장 4년 후부터 자연감소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이 커졌다. 통계청이 지난 2016년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가장 낮은 출산율을 가정했을 때(저위추계) 자연증가에 의한 우리나라 총인구 정점은 2021년이다. 갈수록 더 심각해지는 저출산 추세를 고려하면 이마저 더 앞당겨질 수 있다. 지금의 감소세가 계속된다면 올해 연간 출생아 수는 32만명대에 그치게 된다. 통계청 시나리오(37만6,000명)보다 5만명 가량 적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다음 주 중 문재인 정부의 첫 저출산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세종=빈난새기자 binthere@sedaily.com

빈난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