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폴 크루그먼, "양극화는 세계 경제성장의 어두운 단면"

개발도상국이 발전하다가 선진국이 되기 전에 멈추는 중진국 함정의 신호 보여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 미국 뉴욕시립대 교수는 27일 “1980년대 이후 세계 경제성장은 경제사적으로 가장 훌륭한 업적을 만들어냈지만, 그 이면에는 양극화와 같은 어두운 단면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폴 크루구먼 교수./출처=연합뉴스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 미국 뉴욕시립대 교수는 27일 “1980년대 이후 세계 경제성장은 경제사적으로 가장 훌륭한 업적을 만들어냈지만, 그 이면에는 양극화와 같은 어두운 단면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폴 크루구먼 교수./출처=연합뉴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폴 크루그먼 미국 뉴욕시립대 교수는 27일 “1980년대 이후 세계 경제성장은 경제사적으로 가장 훌륭한 업적을 만들어냈지만, 그 이면에는 양극화와 같은 어두운 단면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이날 전국경제인연합회 주최로 서울 여의도 전경련 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양극화, 빈곤의 덫 해법을 찾아서’ 특별대담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세계 경제성장으로 전 세계 신흥 중산층이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면서도 “가난한 국가들은 성장의 혜택을 받지 못했고, 선진국 내에서도 근로자 계층은 소외당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런 주장의 근거로 미국 경제학자 브랑코 밀라노비치의 ‘코끼리 곡선’(Elephant graph)을 인용했다. 코끼리 곡선은 1988∼2011년 전 세계인을 소득 수준에 따라 100개의 분위(가로축)로 줄 세웠을 때 실질소득 증가율(세로축)이 얼마인지를 보여주는 곡선이다. 그는 코끼리 곡선 연구를 통해 중국, 인도 등 신흥국가들의 중간계층과 세계 최상위 1%를 세계화의 최대 수혜자로 꼽는 반면 고소득국가의 중하위층은 세계화의 낙오자들로 분류했다.


크루그먼 교수는 현 경제 상황에 대해 “개발도상국 경제가 성공적으로 발전하다가 선진국이 되기 전에 멈춰서는 중진국 함정(Middle income trap)의 신호들이 도처에서 발견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이날 대담에는 김광두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도 참석했다. 김 부의장은 모두발언에서 “소득 양극화의 원인은 근래 과학기술이 ‘숙련 편향적’으로 발달하면서 숙련노동자와 비숙련노동자 간의 임금 격차가 커진 데서 찾을 수 있다”며 “기술 진보가 빨라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이러한 임금 격차가 더욱 확대될 수 있다”며 우려했다. 이어 “소득 양극화를 해결하려면 교육기회와 직무능력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관련 제도와 정책 보완이 필수”라며 “급속한 기술변화에 따른 근로자의 숙련 향상을 위해 근로자 직무교육·훈련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전경련 허창수 회장은 “양극화 심화로 계층이동에 대한 희망이 사라지면 사회적 갈등은 커질 수밖에 없다”면서 “경제계는 양극화와 빈곤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