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핵산치료제 개발 기업 올릭스 "독자 기술로 3년 내 글로벌 신약 개발 업체 도약"

다음 달 18일 코스닥 상장

이동기 올릭스 대표가 28일 간담회에서 “핵산 치료제 관련 독자 기술로 아시아 최고 기업이 되겠다”며 포부를 밝히고 있다./사진제공=올릭스이동기 올릭스 대표가 28일 간담회에서 “핵산 치료제 관련 독자 기술로 아시아 최고 기업이 되겠다”며 포부를 밝히고 있다./사진제공=올릭스



핵산치료제 신약 개발 기업 올릭스가 기술 특례 상장 제도를 바탕으로 다음 달 18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핵산 치료제 부문에서 국내 뿐 아니라 아시아 최초로 임상에 진입하는 등 탄탄한 독자 기술력으로 3세대 치료제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각오다.

이동기 올릭스 대표는 28일 서울 여의도에서 상장 관련 간담회를 열고 “핵산 치료제 관련 독자 기술을 바탕으로 3년 내 글로벌 신약 개발 업체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올릭스는 2010년 설립된 회사로 RNA 간섭 기술 원천 특허를 보유한 핵산 신약 개발 기업이다. RNA는 질병을 유발하는 단백질이 생성되기 전 단계를 의미하는 올리고 핵산(Oligonucleotide·유전 물질)이다.

RNA 간섭 치료제는 이중나선 RNA를 합성 제작, 인체에 투여해 질병을 일으키는 표적 유전자를 변형시켜 질병을 막는 3세대 치료제다. 아스피린이나 타이레놀처럼 저분자 화합물로 만든 1세대 치료제나 부작용이 적지만 연구 기간이 긴 항체 치료제인 2세대 치료제와 달리 선제적으로 신체 현상을 조절하거나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지난해 1조원 가까운 매출을 올린 바이오젠의 스핀라자가 대표적인 3세대 핵산 치료제다.


특히 올릭스가 연구 중인 핵산 신약은 단백질이 아닌 mRNA(메신저 RNA)에 직접 작용해 유전자 염기서열 변경만으로 다양한 난치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또 올릭스는 플랫폼 기술을 통해 신약 후보 물질 도출 기간을 3~5개월로 단축, 평균 3년 정도 걸리는 기간과 막대한 개발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였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올릭스는 현재 3세대 RNA간섭 기술을 바탕으로 △비대흉터치료제△특발성 폐섬유화 치료제△안구질환(건성 황반변성 및 습성 황반변성, 망막하섬유화증 및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등 15개의 신약 개발 파이프 라인을 갖고 있다. 파이프라인 중 가장 개발 속도가 빠른 비대흉터치료제(OLX101)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비대흉터란 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해 진피층의 콜라겐이 과다 증식, 상처 치유 후에도 과도하게 크게 남아있는 흉터를 말한다. 외과 수술 환자 중 39% 이상 발병하고 글로벌 시장 비대흉터 발생비율은 44.6%나 된다. 하지만 아직 전문의약품은 전무한 상황이다. 2017년 글로벌 비대흉터·켈로이드 흉터시장은 48억달러(약 5조3,800억원) 수준으로 연평균 9.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잇다.

올릭스는 직접 약을 제작하는 업체가 아닌 개발사인 만큼 연구 중인 치료제가 글로벌 임상 1상 또는 2상 후 지역별 단계별로 라이센스를 매각하거나 활용해 수익을 낼 수 있다. 올릭스는 지난해 매출액이 2억4400만원, 영업손실은 54억원, 당기손실은 52억원을 기록하며 적자가 이어지고 있다. 회사 측은 개발 중인 신약이 이제 임상 1상에 진입했고, 일부는 비임상시험이 진행 중인 만큼 향후 파이프라인별로 평균 임상 1상이 종료되는 2021년 부터는 흑자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올릭스의 희망 공모가는 2만6,000~3만원이다. 공모규모는 312억~360억원, 시총규모는 약 1,675억~1,932억원이다. 공모 주식수는 120만주로 구주매출 없이 모두 100% 신주로 발행될 예정이다. 신규 공모 주식수는 상장 후 총 발행 주식의 18.6%다. 상장 후 발행 주식수는 644만1,544주, 유통 가능물량은 319만693주(49.53%)다.

올릭스는 총 공모 자금에서 발행비용을 제외한 307억원 중 293억원을 현재 파이프라인의 경상개발비로, 나머지 13억원은 상환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경상개발비에는 현재 글로벌 임상 1상이 시작된 ‘OLX101’의 임상비와 ‘OLX031A’의 비임상 치료비 등이 포함된다. 신약 추가 개발을 위한 우수인력을 개발하는 데에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한편 올릭스는 오는 7월 2~3일 수요예측 이후 같은 달 9~10일 양일간 청약을 거쳐 7월 18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될 예정이다. 대표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