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LG구광모시대 개막]'160조 거함' 이끌 40세 캡틴...LG '보수경영' DNA 바뀌나

단계 승진 예상 깨고 '승계와 동시에 회장' 원칙 재확인

당분간 '6人 전문경영인 체제' 유지하며 현황파악 주력

신사업 투자·계열사 조정 통해 그룹 장악력 높여나갈듯




29일 LG그룹 지주회사인 ㈜LG의 대표이사 회장 자리에 오른 구광모 회장은 올해로 만 40세다. 지난 2006년 LG전자 재경 부문 대리로 입사해 실무 경력으로는 12년이 전부다. 전임 회장들도 승계와 동시에 회장 직함을 달았지만 이번에는 좀 다르다고 보는 이유다. 임원 말진 격인 상무에서 곧바로 회장으로 직행했고 부친(구본무 회장)보다 10년 일찍 회장 직함을 달았다는 점에서 ‘파격’이라는 표현이 자연스럽다. 보수적 색채가 강한 LG라 더 그렇다.

달리 보면 구본무 회장의 지분을 승계해 그룹 총수가 되는 만큼 무게감에 걸맞은 책임경영을 다하겠다는 의도가 담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LG그룹의 후계자로서 정공법을 택해 ‘구광모 체제’로 신속히 전환하려는 의지가 아니겠느냐는 것이다. LG의 한 임원은 “부친 생전의 역할과 책임감을 모두 승계한다는 의미”라며 “앞으로 6인 부회장의 보좌를 바탕으로 그룹 경영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재계의 한 고위관계자는 “70개 계열사, 연매출 160조원의 글로벌 그룹 수장으로서 캐시카우 마련, 계열사 간 시너지 등 숱한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LG의 보수적 경영 DNA에 변화가 올지도 관심거리”라고 말했다.


◇‘승계와 동시에 회장’ 원칙 재확인…6인 부회장 역할론 부각=시장에서는 애초 구 회장의 단계적 진급에 무게를 뒀다. 사장 혹은 부회장부터 달고 시간을 두고 회장이 될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았다. 구 회장의 경영수업 기간이 짧은 점도 이런 관측에 작용했다. 하지만 ‘장자 승계’만큼이나 ‘승계와 동시에 회장’이라는 원칙에 예외는 없었다. 창업주 작고 후 부사장에서 곧바로 회장에 오른 구자경 명예회장, 부회장에서 승진한 부친의 전례를 따랐다는 평가다.

관련기사



경제단체의 한 고위임원은 “(구광모 회장과) 20년간의 실무 경험 뒤 1995년 만 50세의 나이에 회장을 승계한 구본무 회장을 동렬로 보기 힘들다는 지적이 있다”면서도 “회장이 작고하지 않은 이재용 부회장(삼성), 정의선 부회장(현대자동차) 사례와는 다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거대 그룹의 회장 자리를 공석으로 둘 경우 우려되는 부작용 등을 감안해 현실적 판단을 했을 것이라는 얘기다.

그만큼 전문경영인의 보좌가 중요해졌다. 구 회장이 당분간 현안 파악에 주력할 수밖에 없는 만큼 6인의 전문경영인이 주요 계열사를 책임지는 체제가 공고해질 것으로 보인다. 하현회 ㈜LG 부회장, 조성진 LG전자 부회장,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 차석용 LG생활건강 부회장,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 박진수 LG화학 부회장 등이 ‘4세 경영 체제’ 전환 과정에서 우려되는 공백을 메우게 된다. 특히 ‘전략·기획통’으로 전자·디스플레이 등 주요 계열사를 거친 하 부회장의 경우 ㈜LG 사장 시절에 구 회장과 일해본 경험도 있다. 어찌 됐든 6인의 부회장 체제는 상대적으로 경험이 적은 구 회장의 4세 경영이 뿌리내릴 때까지 핵심역할을 맡을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구 회장이 별도의 인물을 발탁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조직의 안정, 구 회장의 짧은 경력 등을 고려하면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책임경영으로 장악력 높일 듯=LG 계열사별로 과제가 산적해 있다. LG전자만 해도 적자인 스마트폰 사업 개선이 절실하고 LG화학은 바이오 등 신산업의 안착이 중요하다. 하지만 구 회장은 특정 사업보다는 큰 그림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LG의 한 고위관계자는 “세부사업을 넘어 4차 산업혁명 등 기술 변화가 극심한 시기에 LG가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성장동력 마련과 관련해 보완해야 할 부분 등에 주력할 것”이라며 “책임경영 구현도 그런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재계의 한 관계자도 “구 회장이 외부행사도 미루고 경영 현안 파악에 집중하지 않겠느냐”며 “연말 인사를 비롯해 신사업 투자, 계열사 조정 등 총괄 역할에 중심을 두면서 그룹 장악력을 높여갈 것”이라고 봤다. /이상훈·한재영기자 shlee@sedaily.com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