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법무부에 따르면 현재 한국 정부를 상대로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과 관련해 ISD 추진 의사를 밝힌 곳은 엘리엇·메이슨 등 미국계 헤지펀드 2곳이다. 메이슨은 지난달 8일 삼성물산 합병 건과 관련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근거로 한국 정부에 중재의향서를 제출했다. 엘리엇은 이보다 앞서 약 2개월 전 같은 취지의 중재의향서를 냈다. 두 기관의 공통점은 삼성물산 합병 당시 각각 7.12%, 2.18%의 삼성물산 지분을 보유했다는 점이다.
또 주주 입장에서 합병비율이 불공정하다며 합병을 반대해왔다.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에 한국 정부 관계자들이 부당 개입하면서 대규모 손해를 입었다’는 점을 ISD 중재의향서에 적시했다는 점도 같다. 메이슨은 이날 공개된 중재의향서에서 “2015년 5월26일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간 합병이 발표됐을 때 애널리스트들은 합병 조건이 삼성물산의 가치를 낮게 책정하고 제일모직의 가치를 높게 책정해 삼성물산 주주에게 손해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면서 “합리적인 삼성물산 주주라면 그런 조건의 합병은 찬성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엘리엇의 경우 손실액을 6억7,000만달러(약 7,182억원), 메이슨은 1억7,500만달러(약 1,880억원)로 각각 제시했다.
전문가들은 두 기관이 같은 취지로 ISD 제기를 예고하고 있으나 앞으로 대응 과정은 사뭇 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각기 성격이 다른 터라 한국 정부와 있을 협상 테이블에서도 상이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엘리엇이 ‘행동주의 펀드’를 표방하는 것과 달리 메이슨은 적절한 차익을 얻을 수 있는 곳에 가리지 않고 투자하는 성향을 보이는 등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어 앞으로 한국 정부에 대한 대응에서도 차이를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국 정부는 두 기관이 공조할 가능성은 물론 각각 다른 전략으로 나올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대응책을 짜야 하는 만큼 협상 절차가 순탄치 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