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보이루 쓰지 말자’ 대자보 붙인 중학생..남학생들에게 폭언·폭행 당해 “미친X 페미니스트 이유?”

‘보이루를 쓰지 말자’ 란 대자보를 붙인 중학생이 남학생들에게 폭언 및 폭행을 당한 사건이 벌어졌다.

피해 학생들은 교사·학교 측이 가해 학생을 계도하지 않는 탓에 교실 현장이 혐오표현으로 뒤덮이고 있다면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피해 사실을 폭로하며 기록에 나섰다.


광주광역시에 사는 중학교 3학년 이윤(16·가명) 양은 8일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학교에 ‘보이루를 쓰지 말자’는 내용의 대자보를 붙였다가 남학생들로부터 수차례 폭언·폭행을 당했다”고 말했다.

광주에 사는 이윤(16·가명)양은 “학교에 ‘보이루를 쓰지 말자’는 대자보를 붙였다가 남학생들에게 언어폭력을 당하고 발로 등을 걷어차였다”고 폭로했다. 사진은 지난달 13일 이 양이 등을 차인 직후 교복을 촬영한 모습. 교복에 신발 발자국(빨간 원)이 선명히 찍혀 있다./사진=연합뉴스광주에 사는 이윤(16·가명)양은 “학교에 ‘보이루를 쓰지 말자’는 대자보를 붙였다가 남학생들에게 언어폭력을 당하고 발로 등을 걷어차였다”고 폭로했다. 사진은 지난달 13일 이 양이 등을 차인 직후 교복을 촬영한 모습. 교복에 신발 발자국(빨간 원)이 선명히 찍혀 있다./사진=연합뉴스



‘보이루’는 유튜브 구독자 수가 230만명에 달하는 유명 BJ ‘보겸’이 자신의 이름과 ‘하이루’를 합성해 만든 인사말이다. 보겸의 인기에 힘입어 ‘보이루’는 현재 초중고 학생들이 매일 습관적으로 쓰는 신조어 인사말이 됐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보겸이 데이트 폭력을 저질렀던 사실이 확인된 점, 보겸의 의도와 달리 ‘보이루’에 여성 성기를 지칭하는 비속어를 섞어 쓰는 남학생이 많은 점 등을 지적하며 이 유행어 사용을 지양하자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평소 청소년 인권운동 및 페미니스트 활동을 하는 이윤 양은 지난 5월 말 학교에 대자보를 붙이면서 “‘보이루’는 뜻이 변질돼 여성혐오 표현이 됐다. 혐오표현을 학교에서 듣고 싶지 않다”고 적었다.

관련기사



이 양이 붙인 대자보는 남학생들에 의해 곧바로 떼어졌다. 남학생 8명은 이 양을 원 형태로 둘러싸고 1분가량 “보이루! 보이루!”라고 반복해 외친 다음 크게 웃으며 도망갔고, 다른 남학생들도 이 양에게 “미친X” 등 험한 욕설을 퍼부었다.

지난달 13일에는 물리적 폭력도 있었다. 점심을 먹고 교실로 돌아가던 이 양에게 모르는 남학생이 갑자기 다가와 “보이루 메갈X”이라고 말하더니 등을 발로 세게 걷어찼다.

이 양이 당한 폭력에 교사들은 남학생들에게 단순히 “그렇게 하지 말라”고 하는 수준의 주의만 줬다. 이 양은 가해 학생이 처벌받기를 원하지만, 학년부장인 담임교사는 ‘해당 사건은 학교폭력대책 자치위원회(학폭위)에 회부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최근 트위터에서는 이 양처럼 학교에서 폭력을 당한 청소년 페미니스트들이 ‘#청소년페미가_겪는_학교폭력’ 해시태그를 단 게시글을 통해 피해 사례를 폭로하며 기록하고 있다. 같은 이름의 피해 제보 계정도 생겼다.

‘#청소년페미가_겪는_학교폭력’ 해시태그가 달린 폭로 게시글은 지난달 29일 해시태그 운동이 시작된 후로 일주일 만에 2천여개에 달하고 있다.

최주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