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인도시장 공략키워드는 'I·N·D·I·A'




인도가 과감한 규제개혁으로 사업 환경이 개선되고 있지만 복잡한 사회·문화 제도를 고려해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8일 인도 시장 공략을 위한 키워드로 ‘INDIA’를 제시했다. INDIA는 경제지표 개선(Improving economic indicators), 13억 인구 대국(Numerous people), 과감한 규제개혁(Deregulation), 유망한 인프라 시장(Infrastructure), 장기적인 투자(Aim long-term)에서 따왔다.

관련기사



인도의 올해 1·4분기 경제성장률은 7.7%이며 민간소비와 투자 확대를 바탕으로 향후 7%대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구 기준 세계 2위로 인구의 44%가 24세 이하인 ‘젊은 나라’이기도 하다. 아울러 나렌드라 모디 정부의 강력한 규제개혁에 힘입어 기업을 경영하기 좋은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정부가 강력하게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현지 인프라 시장의 규모는 지난 2015년부터 10년간 연평균 6% 성장해 오는 2025년 162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인도는 복잡한 사회 시스템과 문화적 특성상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일본무역진흥회(JETRO)가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국가 진출시 흑자 전환까지 3~5년이 걸리는 반면 인도는 5~10년이 소요된다고 답했다.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