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최저임금 인상발(發) 후폭풍...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 "월 1회 공동휴업·심야할증 추진"

내년1월1일부터 심야할증·카드 결제 거부 추진

"정부, 일자리 안정자금 현실화해야"

가맹본부의 로열티 낮추고 야간영업 등 비용 부담 요구

내년도 최저임금이 10.9% 오른 8,350원으로 결정된 가운데 동결을 요구하던 편의점가맹점주들이 입장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서 직원이 매대를 정리하고 있는 모습/서울경제DB내년도 최저임금이 10.9% 오른 8,350원으로 결정된 가운데 동결을 요구하던 편의점가맹점주들이 입장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서 직원이 매대를 정리하고 있는 모습/서울경제DB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이하 전편협)가 월 하루 공동휴업과 내년 1월 1일부터 심야할증·카드 결제 거부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 최저시급이 전년 대비 10.9% 오른 8,350원으로 정해진 가운데 전편협은 오는 16일 이와 같은 내용의 입장문을 발표한다고 전했다.


전편협 관계자는 “16일 회의를 통해 매달 하루 휴업하는 방안과 내년 1월 1일부터 심야할증 요금을 적용하겠다”면서 “담배를 제외하고 할증 품목을 추려 자정부터 오전 6시까지 심야에 할증 요금 수준을 적용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대국민 호소문 형식의 스티커, 플래카드 달기 등도 추진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홍성길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 정책국장은 14일 서울경제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2017년 최저시급인 7,530원의 실지급액도 만 원에 근접했는데 내년 시급이 1,000원 가까이 오른다면 주휴수당과 4대 보험료까지 포함해 실지급액이 1만원을 훌쩍 넘긴다”면서 “2018년 최저임금 인상으로 편의점 수익 구조는 인건비가 이미 48%를 차지해 내년에는 50% 이상으로 오를 것”이라고 토로했다.

전편협의 입장문에는 정부와 가맹본부에 지원을 요청하는 내용도 담길 예정이다. 홍 국장은 “정부의 일자리 안정자금은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면서 “편의점주가 4대 보험에 대한 부담을 지고 지원받는 일자리 안정자금은 월 최대 13만원으로 점주의 부담을 고려하면 액수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소규모 사업장에 사회 보험료의 일부를 지원해주는 두루누리 사업을 요청하는 것도 협회에서 의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편협은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부담을 나누기 위해 가맹본부에도 책임을 요구한다는 입장이다. 홍 국장은 “점포별 매출, 비용 등을 고려해 현재 35%인 로열티를 낮추는 지원안을 본부에 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야간 영업과 24시간 영업에 대한 지원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우유, 삼각김밥과 같은 폐기물 처리에 대한 비용 지원, 현재 2.5%인 카드수수료를 1%대로 낮추거나 신용카드 수수료 구간을 5억원에서 7억원으로 확대하는 것도 내부적으로 의논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세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