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삼성 "저주파 대역도 기술력 최고...5G 장비 적기 공급할 것"

삼성전자 5G 통신장비 첫 공개

"안정적인 보안 제공 문제 없어"

2020년 글로벌 점유율 20% 목표

김영기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장(사장)이 13일 경기 수원 디지털시티에서 3.5GHz 대역의 5세대(5G)통신 장비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김영기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장(사장)이 13일 경기 수원 디지털시티에서 3.5GHz 대역의 5세대(5G)통신 장비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삼성전자(005930)가 3.5GHz(기가헤르츠) 대역의 5세대(5G) 통신장비 실물을 전격 공개하며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5G 상용화 시기에 발맞춰 적기에 공급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28GHz의 고주파 대역에서는 전세계에서 가장 앞선 기술력을 갖췄지만 국내 5G 전국망으로 쓰이는 저주파(3.5GHz) 대역에서 화웨이에 밀린다는 세간의 평가를 불식시키고 글로벌 5G 통신 장비 시장을 주도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삼성전자는 지난 13일 수원 디지털시티에서 ‘5G 시티 체험 및 설명회’를 열어 국내 5G 통신용 주파수인 3.5GHz와 28GHz 대역의 통신장비를 공개했다.


그동안 삼성전자는 초고주파인 28GHz 대역에선 기술 경쟁력을 확보했지만 국내 전국망 구축 대역인 3.5GHz에선 화웨이보다 3개월가량 기술 격차를 보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 같은 세간의 평가를 의식한 듯 김영기 네트워크사업부장(사장)은 이날 설명회의 상당 시간을 28GHz 대역의 통신장비 개발 기술이 3.5GHz 대역에 비해 얼마나 어려운지를 설명하는 데 할애했다.

김 사장은 “28GHz 장비는 800MHz 대역폭과 10Gbps 속도, 1,024개 안테나를 갖고 있지만 3.5GHz주파수는 100MHz 폭과 3Gbps 속도, 64개의 안테나로 줄어든다”면서 “이미 기술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회사보다 (삼성전자의 기술 개발 속도가) 빠르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날 공개된 3.5GHz 대역 5G 제품은 현재까지 발표된 국제표준 기반 제품 중 가장 작은 크기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공개한 제품은 거의 완성 단계”라며 “국내 통신사업자와 (3.5GHz 주파수 통신장비의) 공급 규모와 일정 등 여러 요소를 가지고 세밀하게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와 관련 3.5GHz와 비슷한 저주파 대역인 2.5GHz 대역에서 지난 5월 미국 이통사인 스프린트와 상용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는 점도 강조했다. 2.5GHz 대역의 5G 기지국 장비는 내년 미국에서 상용화될 예정이다. 아울러 올해 하반기 중 미국 최대 이동통신사업자 버라이즌에 5G 고정형 초고속 인터넷(FWA·Fixed Wireless Access) 기지국과 가정용 단말기(CPE)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와 관련 김 사장은 “(2.5GHz 주파수 대역의 상용 계약 체결은) 28GHz 주파수 대역의 800MHz 폭과 10Gbps 속도를 처리할 수 있는 핵심 기술에 대한 실력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3.5GHz 주파수 통신장비의 완성·공급 시점에 대해 그는 “오는 12월 1일부터 이통사들이 5G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는데 첫 상용화에 문제가 없도록 제품을 공급하겠다”면서도 구체적인 시기를 밝히진 않았다.

특히 이날 설명회에서 김 사장은 “(5G 시대에는) 변화에 능동적이고 창조적으로 대처해야 하고 안정적인 시큐리티(보안)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웨이의 5G 장비에 대해 보안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는 상황에서 나온 발언인 만큼 관심이 쏠린다. 그는 “삼성전자는 한국 산업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믿을 수 있는 회사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 모델이 경기 수원시 디지털시티에 마련된 ‘5G 시티’에서 5세대(5G) 통신 기술을 이용한 초고화질(UHD)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연하고 있다./사진제공=삼성전자삼성전자 모델이 경기 수원시 디지털시티에 마련된 ‘5G 시티’에서 5세대(5G) 통신 기술을 이용한 초고화질(UHD)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연하고 있다./사진제공=삼성전자


이날 설명회에서 삼성전자는 오는 2020년까지 글로벌 통신장비 시장에서 점유율 2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시장점유율은 3% 수준이지만 통신 분야 선진국으로 꼽히는 한국·미국·일본에선 20% 이상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사장은 “한국은 전세계에서 가장 빨리 5G 전국망이 깔리게 될 시장”이라며 “전세계 5G 생태계를 이끌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곳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는 5G 시대에 상용화될 서비스를 선보였다. 삼성전자 수원 디지털시티 캠퍼스에 구축된 △대량 다중입출력안테나를 활용한 ‘5G 스타디움’ △초고속 대용량 콘텐츠 전송이 가능한 ‘5G 키오스크’ △도시 인프라와 연계 가능한 ‘5G 커넥티비티 노드’ 등을 시연했다.
/수원=권경원기자 nahere@sedaily.com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5G ;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