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민선7기 동남권, 글로벌 기업도시로] 일·생활균형지원단 9월 출범, 심각한 '저출산 파고' 넘는다

부산시, 2022년까지 노인일자리 7만개 창출

급속한 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처

부산시가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인다.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부산 원도심 전경. /사진제공=부산시부산시가 저출산·고령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인다.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부산 원도심 전경.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가 당면한 저출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범사회적으로 일·가정 양립 문화를 정착시키고 출산 친화적 사회 분위기를 적극 조성하기로 했다. 도시 발전을 정체시키고 있는 고령화 문제에 대해서는 일자리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부산시는 전국 7대 대도시 가운데 낮은 출산율과 급속한 고령화 문제가 가장 심각한 수준이다.

26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먼저 출산·보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는 9월 일·생활균형지원단을 설치하고 ‘일하며 아이 키우기 행복한 부산’이 되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기업에서도 가족 친화적 환경이 조성되도록 실질적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적극적 참여 분위기를 유도하기로 했다.

보육 공공성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출산과 보육에 들어가는 비용도 지원한다. 국공립 등 보육어린이집을 2022년까지 250개소 확충하고 차액보육료를 지원해 부모 양육부담도 점차 줄여나간다. 미세먼지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전체 어린이집에 공기청정기 설치를 지원하고 통학버스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등 안심보육에도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엄마와 아이의 건강을 돌보는 서비스도 제공하기로 했다. 국가정책에 맞춰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의 질환 범위를 확대하고 출생아에 대한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와 난청 선별검사를 전체 출생아 대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국민행복카드 지원금액을 상향하는 것은 물론 돌봄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마을 돌봄체계를 확대해 자녀를 안심하고 양육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관련기사



증가 속도가 전국 최고 수준에 달하는 고령화와 관련해서도 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 부산 지역 노인 인구는 지난달 기준 57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시 전체 인구 347만명의 16.7%에 달한다. 특히 노인 빈곤율은 48%에 달해 부산시는 2022년까지 1,600억원가량을 들여 공익활동과 시장형 일자리로 노인 일자리 7만개를 확보할 계획이다.

시장형 일자리의 경우 수익형 사업을 늘려 좋은 일자리를 확충하고 일자리 수행기관의 경영 진단과 운영 개선 등을 통해 수행기관의 역량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또 재취업 일자리와 사회공헌 일자리를 적극 확충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노인이 여가와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경로당시설 현대화 사업을 벌이고 관련 프로그램 지원 사업도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이웃 노인들과 함께 가족처럼 지낼 수 있는 대안가족센터를 설치하고 고독사 예방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