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5월 상용직 노동자 월급 332만원…임시·일용직 142만원

노동부, 사업체 노동력 조사결과

지난 5월 기준으로 봤을 때 임시·일용직 노동자는 상용직 노동자의 절반에도 크게 못 미치는 월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6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1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직 1인당 월평균 임금 총액은 331만7,000원으로, 작년 동월(316만9,000원)보다 4.7% 증가했다. 임시·일용직 노동자의 월평균 임금 총액은 작년 동월(132만5,000원)보다 6.9% 증가한 141만7,000원이었다./출처=이미지투데이지난 5월 기준으로 봤을 때 임시·일용직 노동자는 상용직 노동자의 절반에도 크게 못 미치는 월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6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1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직 1인당 월평균 임금 총액은 331만7,000원으로, 작년 동월(316만9,000원)보다 4.7% 증가했다. 임시·일용직 노동자의 월평균 임금 총액은 작년 동월(132만5,000원)보다 6.9% 증가한 141만7,000원이었다./출처=이미지투데이



지난 5월 기준으로 봤을 때 임시·일용직 노동자는 상용직 노동자의 절반에도 크게 못 미치는 월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6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1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직 1인당 월평균 임금 총액은 331만7,000원으로, 작년 동월(316만9,000원)보다 4.7% 증가했다. 임시·일용직 노동자의 월평균 임금 총액은 작년 동월(132만5,000원)보다 6.9% 증가한 141만7,000원이었다.

중소기업과 대기업 모두 임금 규모는 늘었지만 임금 격차는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300인 이상 사업장 노동자의 평균 월급은 438만1,000원으로, 작년 동월보다 4.4% 증가한 값을 보였다. 1∼300인 사업장 노동자는 288만9,000원으로, 작년 동월보다 5.1% 늘었다.


5월 기준으로 노동자 월급이 가장 많은 업종은 금융 및 보험업(554만원)이었고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502만7,000원),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431만6,000원)이 뒤를 이었다. 월급이 가장 적은 업종은 숙박 및 음식점업(172만2,000원)이었다.

관련기사



조사 대상 사업체 노동자의 월평균 노동시간은 작년 동월(161.3시간)보다 2.4시간 증가한 163.7시간이었다. 노동부는 지난 5월 근로일 수(19.9일)가 작년 동월보다 0.4일 많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상용직 노동자의 월평균 노동시간은 171.2시간으로, 작년 동월보다 2.9시간 늘었고 임시·일용직은 98.0시간으로, 작년 동월보다 4.4시간 줄었다. 노동자의 월평균 노동시간이 긴 업종은 부동산 및 임대업(178.7시간), 광업(178.5시간)이었고 노동시간이 짧은 업종은 건설업(137.0시간)과 교육서비스업(138.7시간)인 것으로 확인됐다.

6월의 마지막 영업일을 기준으로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종사자는 1,783만1,000명으로, 작년 동월(1,755만4,000명)보다 1.6% 증가했다. 이 가운데 상용직은 1,487만명으로, 1.4% 증가했고 임시·일용직은 187만4,000명으로, 3.1% 늘었다. ‘기타 종사자’는 108만7,000명으로, 0.9%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전체의 약 20%를 차지하는 제조업 종사자가 362만6,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0.4% 늘었다.

이 같은 사업체 노동력 조사는 농림어업, 가사서비스업, 국제·외국 기관을 제외한 1인 이상 사업체 가운데 2만5,000개 표본을 대상으로 한다. 자영업자와 무급 가족종사자 등을 아우르는 통계청 경제활동조사보다는 조사 범위가 좁다. /권혁준인턴기자 hj7790@sedaily.com

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