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경제 도약 위해 부산형 혁신 클러스터 구축해야"

민선 7기 부산경제 재도약을 위해서는 부산형 혁신 클러스터의 성공적인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산발전연구원은 30일 BDI 정책포커스 ‘미국 사례로 본 혁신 클러스터 구축 전략’ 보고서를 내고 부산형 혁신 클러스터 구축의 필요성과 전략을 제시했다. 김종욱 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부산 경제 재도약을 위해서는 기존 주력산업 고도화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산업 육성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혁신 자원과 주체 간 긴밀한 네트워킹이 중요함에 따라 혁신 클러스터의 성공적 구축이 부산의 미래를 좌우할 것”이라 말했다.

현재 세계 각국은 혁신 클러스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각축을 벌이고 있고 문재인 정부는 국가혁신 클러스터 조성을 도모하고 있으며, 민선 7기 부산시도 지역경제의 체질을 강화하고 혁신 성장 거버넌스 구축과 기반 구축을 위해 주력하고 있다.


보고서는 혁신 클러스터의 성공사례로 미국의 ‘리서치 트라이앵글 파크’, ‘플로리다 포토닉스 클러스터’, ‘실리콘 밸리’, ‘실리콘 앨리’, ‘보스턴 바이오테크 클러스터’, ‘샌디에이고 바이오 클러스터’ 등을 제시했다. 이들 클러스터는 경쟁력 있는 인적 자원, 끈끈한 산학관연 파트너십, 활발하게 창업할 수 있는 환경과 문화 등의 성공요인을 갖고 있다.

관련기사



김 연구위원은 이 같은 미국 클러스터의 성공 사례를 참고로 부산형 혁신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물적 기반의 연결 전략 △혁신주체의경쟁력전략 △혁신과정의사업화전략 △문화기반의 협업 전략 등 4대 전략을 제시했다.

김 연구위원은 “물적 기반의 연결전략은 4차 산업혁명 시대 대규모 산업입지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제각기 입지한 산업입지 간 연결성을 강화하고 센텀시티와 같은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도심내 기업 입지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라 말했다. 이어 “혁신주체의 경쟁력 전략은 우수 인재를 배출하는 대학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지역대학의 역량을 강화해 이를 지역기업의 혁신역량 제고로 이어지도록 연계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위원은 “혁신과정 사업화 전략을 통해 지역에서 개발된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플랫폼 구축에 나서는 한편 문화기반 협업 전략으로 클러스터 내에 협업공간을 마련해 활발한 내부 학습과 상호협력 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 강조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