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외교정책 결정에 AI 활용한다는데...

전략게임과 비슷 정확한 판단 용이

외교부 일부 부서 초보단계 사용중

중국이 갈수록 복잡해지는 외교정책 결정에 인공지능(AI)을 도입했다. 국가 간 외교의 특성이 체스·바둑·포커 등 AI가 우월성을 드러낸 전략게임과 비슷한 만큼 AI를 활용했을 때 인간보다 더욱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3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중국과학원이 개발한 초보 단계 수준의 외교정책 AI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을 도입한 부서는 외교안보사무국으로 세계 각국의 안보 문제를 검토하고 각 해외 공간에 정책을 제안하는 곳이다.


이 AI 시스템은 외교관들의 칵테일파티에서 흘러나오는 정보부터 첩보위성이 촬영한 영상까지 방대한 정보를 분석한 후 외교전략을 모색한다. 외교정책 결정론자가 복잡하고 긴박한 상황에서 속히 정확한 판단을 내려야 할 때 AI 시스템을 활용하면 여러 선택 가능한 대안을 빠르게 제시하는 것은 물론 최적의 솔루션을 내놓을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SCMP는 AI 활용이 중국뿐 아니라 향후 각국 외교정책 결정에 필수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 국가의 특정 조처에 대해 상대 국가가 이에 맞서는 조처를 내놓고 이것이 다시 관련국들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 간 외교의 속성이 AI가 우월성을 보이는 전략게임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푸징잉 중국과학원 지리과학자원연구소 연구원은 “중국 외교부는 최근 수년간 거의 모든 해외투자 프로젝트 심사에서 AI 시스템을 활용했다”며 “나아가 전략적 의사 결정에서 인간을 도울 수 있는 차세대 AI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