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성태 "文정부, 기무사 국정 위기 돌파에 이용했다면 책임져야"

"정부, 軍 책무를 내란음모·적폐세력으로 몰아"

"군인권센터, 文정권 하청업체·宋장관 의전실"

'임태훈 성 정체성 혼란자' 발언 입장 바꾸기도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2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2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2일 국군기무사령부의 계엄령 문건 논란과 관련해 “헌법에 엄격한 정치적 중립 의무가 규정된 군을 국정운영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끌어들였다면 문재인정권은 상응하는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기무사의 상황대비문건이 작성됐다는 사실이 확인된 만큼 2016년 기무사 문건 유출 경위에 대한 국회 국정조사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군 본연의 책무에 대해 군을 내란음모나 획책하는 적폐세력으로 몰아가며 드루킹 특검을 희석하고 제1야당을 내란공범으로 몰아가려는 야당 탄압 정치공작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는 기무사 문건을 공개한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을 또다시 거론하며 비난을 이어갔다. 그는 “마린온 헬기 사고 유족을 만날 때 (임 소장이) 송영무 국방부 장관의 최측근 의전 참모로서 어떤 역할을 했나 지켜보라”라며 “군인권센터는 문재인정권의 하청업체이고, 송 장관의 의전 부속실인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김 원내대표는 또 임 소장을 ‘성 정체성 혼란자’라고 표현해 논란이 일자 “논란의 본질은 그가 성 소주자이기 때문이 아니라 신성한 병역의 의무를 거부한 자이기 때문“이라며 입장을 바꿨다.

드루킹 사건을 수사 중인 허익범 특검이 김경수 경남지사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것과 관련해 “이제라도 특검 수사가 본궤도로 향해 가서 다행”이라며 “김 지사뿐 아니라 청와대 백원우 민정비서관, 송인배 정무비서관도 드루킹과의 커넥션이 규명돼야 하고, 특검 수사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