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올 하반기 취업시장 '반도체·금융·보험' 강세 '조선·섬유·자동차' 부진

사진=(반도체 공장에서 기기를 조작하는 연구원들./서울경제)사진=(반도체 공장에서 기기를 조작하는 연구원들./서울경제)



올해 하반기 국내 반도체, 금융, 보험 업종의 일자리는 증가하는 반면 조선과 섬유, 자동차 업종의 일자리는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3일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발표한 ‘2018 하반기 주요 업종 일자리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동기 대비 반도체, 금융 및 보험 업종의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지난해 하반기 대비 반도체(6.4%)와 금융·보험(4.4%) 업종은 일자리가 증가하고, 조선(-10.3%)과 섬유(-3.9%), 자동차(-2.4%) 업종의 일자리는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이번에 조사한 10개 업종 중 가장 높은 일자리 증가율을 보인 것은 반도체 분야다. 보고서는 “전통적인 반도체 수요처인 스마트폰과 PC 수요 확대뿐만 아니라 AI(인공지능), 빅데이터, IoT(사물인터넷) 등의 반도체 신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 시장 예상을 상회하는 수준의 수요 증가로 호황 국면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보험 업종에 대해서는 ”은행업은 가계 부채 관련 규제 강화, 예상에 못 미치는 경제성장 속도가 실적 개선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중소기업 육성 정책과 시장금리 상승 등의 동반 영향으로 수익이 증대될 것“이라며 “여신전문 금융업과 보험 업종 역시 성장 속도는 둔화하나 성장세는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10개 업종 중 가장 큰 폭의 감소(-10.3%)가 예상되는 분야는 조선 업종이었다. 다만 이는 상반기(-22.2%)보다 감소 폭이 크게 완화된 것이다.

보고서는 “글로벌 물동량 증가와 국제유가 상승, 선박 공급과잉의 점진적 해소, 국제 환경규제 시행 등으로 조선 시황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일감 감소와 해양 플랜트 수주 감소로 조선 업종의 고용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다. 하지만 2018년 상반기보다 하반기 고용 감소폭은 현저히 줄어들고, 감소세 역시 크게 둔화, 진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다소 긍정적으로 예측했다.

반면 기계(1.4%), 전자(0.1%), 철강(-1.0%), 디스플레이(-0.4%), 건설(0.2%) 업종의 고용 증가율은 지난해 하반기 고용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이번 발표는 고용보험 DB, 직종별 사업체노동력조사, 경제활동인구조사 등을 활용해 수요 측면의 일자리를 예측한 결과다.

김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