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BMW 긴급 안전진단 결과 8.5% 문제…'실험중'인 차 판매했나

4일 오후 2시 15분경 목포시 옥암동 한 대형마트 인근 도로에서 주행 중인 2014년식 BMW 520d 승용차 엔진룸에 불이 나 연기가 치솟고 있다. (사진=연합뉴스)4일 오후 2시 15분경 목포시 옥암동 한 대형마트 인근 도로에서 주행 중인 2014년식 BMW 520d 승용차 엔진룸에 불이 나 연기가 치솟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주행 중 화재가 발생해 논란이 된 BMW 차량의 8.5%가 문제 차량으로 분류된 것으로 나타났다. BMW 측은 해당 차량의 부품 교체나 렌터카 대여 등의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6일 BMW 화재 사태와 관련한 긴급 브리핑에서 BMW의 안전진단 결과 전체의 8.5%에서 문제가 발견돼 이같이 조치했다고 밝혔다.


BMW는 지난달 27일부터 이날 오후 3시까지 리콜 대상 10만6천317대 중 3만3천918대(31.9%)에 대해 긴급 안전진단을 진행했다. 이중 939대는 부품을 교환했으며, 1천958대는 렌터카를 대여해줬다.

4만6천432대는 안전진단이 예약된 상태다.

국토부는 그동안 6개의 전소되지 않은 차량에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와 흡기다기관을 확보해 분석한 결과 이들 부품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디젤 차량은 환경 보호를 위해 엔진이 배기가스 일부를 회수해 다시 태우는 구조로 돼 있다.

이때 EGR이 엔진에서 배기가스를 받아 냉각시키고 연결된 흡기다기관에 전달하는데, 이 흡기다기관에서 불이 발생하고 있다.

국토부는 EGR를 거쳐온 배기가스가 플라스틱으로 된 흡기다기관이 견딜 수 있는 최대 온도인 300도 이하로 냉각돼야 하나 그러지 못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발표했다.

요한 에벤비클러 BMW그룹 품질관리부문 수석부사장이 6일 오후 서울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최근 잇따른 BMW 차량의 화재사고와 관련해 화재원인 조사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요한 에벤비클러 BMW그룹 품질관리부문 수석부사장이 6일 오후 서울 웨스틴조선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최근 잇따른 BMW 차량의 화재사고와 관련해 화재원인 조사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BMW 측은 EGR에서 냉각수가 새면서 ‘에틸렌 그리콜’이라는 성분이 나와 고온의 흡기다기관으로 흘러가 침착되면서 불쏘시개 역할을 해 화재를 일으켰다고 설명한다.


국토부는 EGR 모듈의 부품 결함 외에 다른 원인이 있는지 보기 위해 BMW에 추가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국토부는 자료를 외부 전문가에게도 공개할 계획이다. 원인 분석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전문가에게는 자료를 제공하고 의견을 수렴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BMW는 국토부에 화재 원인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유럽에서도 2016년부터 유사한 차량 화재 사고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최근 실험을 통해 EGR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던 중’이라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EGR의 이상 여부를 가리는 실험 도중 우리나라에서 차량 화재가 잇따라 EGR에 문제가 있다고 결론 내렸다는 뜻이다.

이에 국토부는 유럽의 차량 화재와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을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국토부는 BMW가 EGR 부품 결함 가능성을 충분히 알고 있었으면서 늑장 조치를 했다면 과징금 등의 처분을 내릴 계획이다.

최근 목포에서 긴급 안전진단을 받은 차량에서도 화재가 발생한 것과 관련, 국토부는 해당 서비스센터가 안전진단을 미흡하게 시행한 것으로 파악하고 더욱 철저하게 점검하도록 BMW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김진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