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발언대]유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조건

홍성의 테라젠이텍스 생정보부장




홍성의 테라젠이텍스 생정보부장

4차 산업혁명의 차세대 주자로 유전체 분야가 부상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도 총성 없는 주도권 경쟁이 시작됐다. 우리나라도 다양한 준비에 나서고 있지만 각종 규제와 제도적인 장벽에 가로막혀 경쟁력 저하가 우려된다.

먼저 온라인 플랫폼 구축의 활성화에서 수많은 규제 장벽에 부딪히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 유전정보 전문업체 23앤드미의 사례를 보면 현재까지 약 500만명이 병원을 가지 않고 온라인으로 자신의 유전정보를 확인했다. 한국도 지난 2016년 개인이 직접 검사기관에 유전자 검사를 의뢰하는 DTC(Direct To Customer) 제도가 도입됐으나 허용 범위가 미용·다이어트 등 12개 항목에 그치고 있다.


다음으로 개인의 유전정보가 활용할 가치가 있는 빅데이터로 구축되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다. 해외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개인의 유전체 정보를 암호화하고 이 데이터를 암호화폐를 매개로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맞춤형 신약 개발까지 나서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대부분의 개인 유전정보가 연구자들의 서버에 갇혀 있다.

관련기사



일선 병원이 보유한 막대한 데이터 역시 개인정보보호법이라는 원론적 논리에 막혀 공유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지혜롭게 풀기 위해서는 유전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정부·연구자·기업이 지속적으로 공청회와 토론회를 열어 공감대를 찾아야 한다. 빅데이터 표준화를 구축하는 한국형 품질인증기관시스템이 하루빨리 도입될 필요가 있다.

유전체 분야의 원천기술 및 연구개발(R&D) 인재 확보도 시급하다. 유전체의 생산·가공·익명화·공유, 인공지능을 활용한 재가공 등 각 공정에서 독자적인 기술을 갖춰야 한다. 글로벌 기업이 독식하는 원천기술을 보유하지 않고서는 출발부터 주도권을 내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인재 육성에 대한 투자와 지원도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정부·학교·기업이 인재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들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인큐베이팅시스템을 확충하는 것이 선결돼야 한다. 이제 막 태동기에 접어든 유전체 분야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 산학연이 모두 머리를 맞대야 ‘K바이오’의 글로벌 경쟁력도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