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경기불안에 지출 늘린 정부…상반기 재정수지 적자 확대

상반기 3.5조 적자...작년比 1.4조↑

경기가 불안한 모습을 보이자 정부가 올 상반기 재정지출을 늘리고, 조기 집행에 나서면서 재정수지 적자 폭이 확대됐다. 세수 호황이 이어지면서 올 상반기 세금은 지난해보다 19조원 이상 더 걷혔다.

기획재정부가 10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8월호’를 보면 올 상반기 통합재정수지는 3조5,000억원 적자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적자 폭이 1조4,000억원 늘었다. 통합재정수지는 정부의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결과다. 통합재정수지에서 사회보장성기금을 제외해 정부의 실질 재정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25조5,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이 역시 적자 폭이 1조4,000억원 늘었다.

이에 대해 기재부 관계자는 “경기가 좋지 않을 때 통상적으로 정부 지출을 늘려 총수요를 확대하는 재정정책을 활용한다”며 “올 상반기 경기가 좋지 않아 조기 집행 등 적극적 재정운용을 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세수 호황은 6월에도 이어졌다. 올해 1~6월 국세수입은 157조2,000억원으로 19조3,000억원 늘었다. 지난해 정부의 국세 수입은 전년보다 22조8,000억원 증가하며 역대 최대 세수 풍년이었는데, 올해 상반기에만 지난 한 해 증가 폭과 비슷한 수준의 세수가 더 걷힌 셈이다. 세수 진도율은 1년 전보다 3.7%포인트 상승한 58.6%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올 상반기 법인세 수입은 40조6,000억원으로 7조1,000억원 증가했다. 법인세의 세수 진도율은 64.4%에 달했다. 올해 법인세는 지난해 법인 실적을 바탕으로 걷는데, 지난해 기업들의 영업실적이 좋아진 영향이라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소득세 수입은 44조3,000억원으로 6조4,000억원 늘었다.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거래가 늘면서 양도소득세가 많이 늘어난 영향이다. 세수 진도율은 60.7%를 기록했다. 부자증세의 영향으로 일부 고소득 근로자의 원천징수세율이 상승한 점도 반영됐다. 부가가치세 수입은 34조8,000억원이 걷혀 1조7,000억원 증가했다. 세수 진도율은 51.6%를 기록했다.

올해 주요 관리 대상 사업 280조2,000억원 가운데 6월까지 누계 집행액은 174조1,000억원으로, 연간 계획의 62.1%가 집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6월 기준 중앙정부 채무는 671조7,000억원이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