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OECD 韓 경기전망, 외환위기 시절 육박

6월 CLI 0.3P↓…15개월째 하락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한국 경기 전망이 15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외환위기 직후 수준에 육박했다.

12일 OECD에 따르면 올해 6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는 전월보다 0.3포인트 내려간 99.2를 기록했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로 쓰인다. 한국은행·통계청의 제조업 재고순환지표, 장단기 금리 차, 수출입물가비율, 제조업 경기전망지수, 자본재 재고지수, 코스피 등 6개 지수를 활용해 OECD는 이 지수를 산출한다. 통상 상승 흐름이면 경기확장, 하락 흐름이면 경기 하강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우리나라의 경기선행지수는 꾸준히 하강하고 있다. 지난해 3월 100.98을 정점으로 올해 6월까지 15개월 연속 하락했다. 하락세가 이보다 길었던 것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9월부터 2001년 4월까지 20개월 연속이 유일하다. 하락 폭도 점차 커지는 양상이다. 올해 2월까지 매월 0.1포인트 내외로 하락했던 지수는 3월 99.93으로 100이 붕괴하면서 0.2포인트로 낙폭을 넓혔다. 가장 최근인 6월은 하락 폭이 0.3포인트까지 커졌다.

다만 경기선행지수가 하락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일은 아니다. OECD 회원국 평균 경기선행지수도 작년 11월(100.23) 정점을 찍고 7개월 연속 하락했다. 4월에서 6월은 100을 밑돌고 있다. 주요 7개국(G7)도 지난해 12월 1월부터 6개월 연속 내리막이다. 정부는 아직 경기둔화 판단을 공식화하기에는 이르다고 보고 있다.


세종=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