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협력사 직원 위해 '안마사' 뽑은 신세계百

장애인 '헬스키퍼' 점포별 2명씩

‘헬스키퍼’ 안마사가 ‘S테라피룸’에서 신세계백화점 협력직원을 안마하고 있다.  /사진제공=신세계백화점‘헬스키퍼’ 안마사가 ‘S테라피룸’에서 신세계백화점 협력직원을 안마하고 있다. /사진제공=신세계백화점



신세계백화점이 고객과의 최접점에 있는 협력사원의 복지를 위해 안마사 ‘헬스키퍼’를 고용했다고 12일 밝혔다.

헬스키퍼란 직원들의 피로를 풀어주기 위해 고용한 안마사를 말한다. 장애인고용공단과 연계해 채용했으며 점포별로 2명씩 상주할 계획이다.

지난달 중순부터 새로 도입한 헬스키퍼 제도는 본점과 강남점부터 먼저 시범 운영한 뒤 전 점포로 확대해 20여명까지 늘릴 예정이다. 유통업의 특성상 여성 협력사원이 90%가 넘기 때문에 안마사 역시 전부 여성으로 뽑았다.


신세계 측은 협력사원들이 안락한 공간에서 안마를 받을 수 있도록 마사지실 ‘S 테라피룸’도 새로 만들었다. 1회당 30분씩 하루에 최대 10명씩 이용할 수 있으며 1개월 단위로 예약을 받는다.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하고 한 달에 200명 정도가 헬스키퍼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관련기사



육체적 업무 부담이 많은 판매 사원 위주로 우선 선정하며 족부 질환이나 근골격계 질병이 있는 협력사원 역시 먼저 신청이 가능하다. 벌써 100%의 예약률을 기록할 정도로 직원들의 관심이 뜨겁다. 특히 평소 마사지를 받을 시간적 여유가 없었던 연령대 높은 사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김정식 신세계백화점 지원본부장 부사장은 “만성피로에 시달리는 협력사원을 위해 시각장애인 안마사를 고용하기로 결정했다”며 “고객을 직접 만나는 직원들이 VIP처럼 대우받아야 고객들에게도 더욱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대구점 휴게실대구점 휴게실


신세계백화점은 이미 백화점 점포마다 층별로 1개씩 마련한 휴게공간엔 발 마사지기와 안마의자를 비치해 직원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7월 초엔 마사지기를 300여개 추가 구매해 휴게실에 비치했다. 협력사원 휴게실에 임신부 전용 배려석을 만들어 임신한 직원들이 휴게실에서 좀 더 마음 놓고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개선했다. 족부 질환 등이 있는 직원들을 위한 대여용 의자도 비치해 필요한 직원이 매장에 가져가 쓸 수 있도록 했다. 협력사원들이 쉽게 병원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제도도 있다. 정형외과, 한의원 등 점포 인근 병원과 제휴해 근무 외 시간뿐만 아니라 근무 시간에도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가능하다.


심희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